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 활동에 관한 연구

이용수 32

영문명
The study of the activity with writing of note for learning of underachievers on mathematics class
발행기관
한국학교수학회
저자명
이화연 김응환
간행물 정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9권 제3호, 277~28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학학습부진아의 개별화 지도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개별화지도의 효과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를 탐구해 보는 것이다. 충남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특별한 학생에게 맞춤으로 새롭게 구성한 수학노트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매 수업시간이나 그 이후의 시간을 이용하여 스스로 노트를 정리하게 하였고, 일정기간마다 노트를 제출하여 교사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생의 개별화 지도를 위하여 개인적으로 수학노트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수학학습부진아들의 학습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individual education with the note-taking in math class and correction and supportive explanations on attitudes toward learning of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n the second-year class of high school. This study has begun on the basis of the judgement that the note- taking especially correction and supportive explanations could help the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focus in class and develop good learning habits, and besides, students make a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 According to this result, Many researches and exertions need to inform every student that mathematics is open and doing mathematics is a happy object. if the students who are underachievers were given the chance to organize their learning by themselves in the class with note-taking and correction and supportive explanations in the long-term, it should be effective enough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연,김응환. (2016).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 (3), 277-289

MLA

이화연,김응환.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3(2016): 277-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