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모형 및 예시 단원 개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ing a Model and Exemplary Unit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도종훈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9권 제3호, 239~2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 수업에서 교과서는 학생과 교사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가장 중요한 매개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상당수 학생들은 교과서를 외면하고 학원교재나 참고서, 문제집 등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뿐 아니라 학생 활용도가 실제로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논의는 내실 있는 수학교육 실현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공교육 정상화의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수학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한 기존의 논의 분석과 현행 수학교과서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활용도가 높은 수학교과서는 어떠해야 할지 논의하고,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에 대한 한 가지 모형을 예시 단원과 함께 제안한다.
영문 초록
Textbook i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learning and teaching school mathemat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in view of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ncluding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discuss the meaning of good mathematics textbook and analyze current mathematics textbooks to establish directions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to student as well as teacher. And then we suggest a model and exemplary unit of highly utilizable mathematics textbook.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의미와 구현 방안
Ⅳ.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모형과 예시 단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