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재백 창본 <춘향가>의 한시 어구의 수용 양상과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Accepted patterns and meanings of Chinese Poem in song by Changjaebaek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임보연 김동건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5집, 183~21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는 다른 장르와의 교섭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문학이다. 소설, 무가, 설화, 시조, 민요 등과의 갈래 연구는 비교적 활발한 연구의 흔적이 남아있지만 한시와의 교섭 양상에 관한 연구는 다른 갈래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동안 다른 갈래에 비해서 판소리와 한시와의 교섭에 관한 연구가 미흡했던 이유는 판소리가 서사성을 지니고 있는데 반해, 한시는 서정성을 지닌 작품이라는 기본적인 문학 양식에서의 차이와 판소리는 서민지향성을 띤 예술이지만, 한시는 주요 향유층이 사대부층이었던 것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품 내에서 한시 구절을 수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한시 구절이 변용된 상태로 삽입되어 원래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료 수집의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장재백 창본 춘향가>를 연구 대상으로 수용된 한시 구절의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써, 판소리 작품 내에서 한시 구절이 삽입되어 있는 양상을 살펴보고 작품 내에서의 기능과 의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수용된 양상을 살펴보니, 한시 구절이 그대로 수용된 경우와 일부분만이 수용된 경우, 변용된 경우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된 경우에는 인상적인 묘사를 위한 부분에서 특징이 나타났고, 변용된 경우에는 묘사보다는 정서 심화를 위한 표현 방법으로 삽입되었다. 대부분 한시가 수용된 부분들은 내용적 맥락에서는 자연 경치를 묘사하는 부분이나 정서를 강조, 심화하는 등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부분에서 수용되었다. 이러한 한시 수용의 양상들이 지닌 공통의 특징은 어휘적 연상을 통한 상황 묘사나 정서 표현을 통하여 부분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장면을 극대화하는 특징이 있다. 판소리는 18세기에서 19세기를 거치면서 다양한 변모 양상을 겪어왔으며 하층문화와 상층문화가 공존하는 문학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그 안에서 한시의 역할은 상층 문화와의 소통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수용된 한시들을 삭제하더라도 기본 서사 맥락과 구조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통해서 장면의 극대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판소리가 19세기가 되면서 서민지향의 문화에서 양반지향의 문화라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 부분과 연관이 있다. 상층 문화를 수용하고 양반까지 향유층을 확대하기 위해서 상층 문화의 전형인 한시를 수용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하지만 수용된 한시들은 상층 문화의 전유물이라는 유식함이나 판소리가 상층 문화로 변화한 모습을 보여주기보다는 당대의 사회에서 유행했던 한시들을 수용함으로써 상층과 하층 문화를 모두 수용하고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판소리 문학으로 나아갔던 것이다.

영문 초록

Pansori has various features from other genre; Novel, Muga, Story, Sijo, Minyo and Pansori, and has a little Chinese poetry in it. The study about Pansori and Chinese poetry are rarer than other genre because Pansori has narration, but Chinese poetry has description. Furthermore, Pansori is a popular art and Chinese poetry is an upper class art. When the phrases are added in the Pansori, in some cases they involve the same phrases from the original poetry and in other cases they are different. Thus we don't know what phrases we must add to Pansori, so it's hard to collect datas. I'm trying to look at aspects of accepted phrases into the . We should figure out what will work withi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at particular Pansori. First, let's take a look at the accepted pattern. Only a fraction are accepted phrases as it is accepted and if you could confirm that it's inserted into the transformation. Accepted if part of an impressive portrayal features appeared, transfigured the way for deepening emotional expression rather than depicting was inserted. The most accepted part of the Chinese poetry was received in part to express emphasis or emotion to describe the part of the natural scenery, and information context to deepen effectively. This is a common characteristic feature that maximize or depicted through a situation reminiscent of lexical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the uniqueness part of the scene and secured.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Pansori has a variety of transformed patterns and developed to coexist with the lower and higher class culture. The role of the Chinese poetr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upper class culture and communica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If the accepted phrases were to be deleted, it won't matter in basic narrative context and structure. It is to maximize the formation of the scene. It is associated with the culture that was popular to man-oriented in the 19th century, but the accepted Chinese poetry phrases of Pansori don't show the intelligence of high class. It involved popular phras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Pansori received both the lower and higher culture that can be shared together in culture.

목차

1. 서론
2. 한시 어구 수용 양상
3. 한시 어구 수용의 특징
4. 한시 어구 수용의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보연,김동건. (2013).장재백 창본 <춘향가>의 한시 어구의 수용 양상과 의미. 판소리연구, (), 183-215

MLA

임보연,김동건. "장재백 창본 <춘향가>의 한시 어구의 수용 양상과 의미." 판소리연구, (2013): 183-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