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에서의 무속적 사유체계와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의 변화

이용수 0

영문명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and the change of traditional aesthetic paradigm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현주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40집, 39~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0.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판소리에 내재된 무속적 인자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러한 인자들이 무속의 어떤 사유체계에서 비롯되었으며, 그것이 판소리의 어떤 미학적 자질을 형성하게 하고 있는지를 탐구한 것이다. 판소리에 와서 전통미학의 구조가 균열되고 재구성되는데, 그러한 균열과 재구성에 있어 무엇보다도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이 무속적 사유체계라고 보았다. 이 글은 무속적 사유체계가 판소리의 어떤 측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그것이 판소리의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그 기능과 의미를 분석했다. 판소리 창자의 태생적 기반이 무당과 관계된다는 점은 두루 확인된다. 그러나 판소리 창자가 무당과 관련된다는 점만 추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들의 사회문화적 생태사를 구성해보는 단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판소리 광대가 되는 것이 무당집 남자가 지향해야 할 최고 가치였던 시절이 있었고, 신청과 재인청에서의 조직적인 연희 훈련이 나중 판소리 연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었으며, 관민에게 연희를 팔 경우 재인광대들의 집단조직이 상당히 유기적으로 대응했고, 그들은 나름의 권익을 위해 조직적으로 활동했다. 판소리 광대들의 출신과 무속적 연희 훈련, 무속집단의 조직적 활동 등을 통해 볼 때 그들의 무속 취향은 판소리에 상당 부분 수용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판단된다. 판소리 음악 속에는 무속적인 인자가 내재되어 있다. 굿의 음악인 시나위는 그 음조직과 선율형이 판소리에서 불려지는 계면조와 상당히 흡사한데, 육자배기토리의 시나위권 음악은 판소리의 음조직이나 장단, 성음과 목구성 등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판소리 사설 속에는 무속적인 의식이 잠재되어 있다. 비념이나 고사 등의 소재적 차원을 넘어 사설의 언어적 표현 방식 내지는 담화 방식의 측면에서 보면, 신의 근원내력이라든지 우주의 근원내력이라든지 하는 근원내력과 비슷한 내력 사설이 판소리에 많고, 근원내력과 비슷한 성질의 노정기도 판소리의 담화 방식의 하나이다. 사물 나열의 담화 방식은 근본적으로 굿의 담화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데, 판소리 사설의 많은 부분이 바로 사물들을 병렬적으로 되풀이하는 담화 방식인 것이다. 판소리 연행 방식 또한 굿의 연행 체계와 비슷하다. 무당이 굿을 주재할 때 발생하는 여러 연행적 맥락들은 판소리에서도 흡사하게 나타난다. 그것은 연행자의 동작이나 표정과 같은 행위적인 맥락은 물론이고 반주 악기들이 갖는 연행과의 관계적 맥락, 연행자와 청관중과의 소통적 맥락, 연행 중에 연행자와 청관중 사이에서 일어나는 정서 또는 감정의 움직임의 맥락 등이다. 유학의 영향 하에서 형성된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은 아정함을 지향하는 것인데, 판소리에서는 이러한 아정한 미학적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판소리에 내재되어 있는 무절제한 격동성, 일탈적인 엇지름, 자유자재의 응변성 등의 자질들은 무속적 사유체계에서 전입된 미학적 자질들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은 복합적이라고 보아야 한다. 절제 속에서 무절제를 지향하는 속성이 있고, 규범 속의 일탈을 지향하는 속성도 있으며, 규격 내지 정형 속에서 무정형과 응변을 지향하는 속성도 들어 있는 것이다. 무속적 사유체계는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을 형성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나아가 한국적인 미학을 형성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영문 초록

It aims to understand how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appears, and how it makes the traditional aesthetic paradigm of Pansori a change. The origin of Pansori singer is known as shaman or shaman family. The best valuable model of the men of shaman family is to be good singer of Pansori. The collective organization[jaeinchong(才人廳)] of shaman family themselves execute performative workshop, deal with patrons of government office and civilian for their crafts, and counter action for their rights and interests. Their shamanistic tendency in nature should be penetrated into the work of Pansori in several forms. The music style of Pansori has a lot of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sound structure, melody, rhythm, and vocal character etc. The speech words of Pansori has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expressive manner or discourse with metrical arrangement of origin history of objects and itinerary of Gods. The performance of Pansori has shamanistic property in factors like as behavioral context of performer, accompanying percussion instrument, communicative context between performer with audience, and emotional moving context between performer with audience. The shamanistic perspective in Pansori changed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classical performative arts and crafts were dignity, elegance, moderation, calmness etc. But the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was changed into immoderated violence, deviated interruption, freely adaptation to circumstances by shamanistic perspective. These property are melted into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The shamanistic perspective considerably involve with characteristics of Pansori aesthetics, further has meaningful influence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general aesthetics.

목차

1. 머리말
2. 판소리 창자 집단의 사회문화적 기반
3. 판소리의 무속적 사유체계
4. 판소리에서 무속적 사유체계의 미학적 기능과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주. (2015).판소리에서의 무속적 사유체계와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의 변화. 판소리연구, (), 39-72

MLA

김현주. "판소리에서의 무속적 사유체계와 전통미학적 패러다임의 변화." 판소리연구, (2015): 39-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