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도부인(Bible Woman), 한국 근대소설 속 신여성(New Woman) 이전의 여자들

이용수 48

영문명
Bible Women, Female Characters before New Women in Korean Modern Novel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김예람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34집, 11~65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개화기 신소설부터 일제 식민지기 근대소설에 이르기까지 신여성(New Woman)에 앞서 기독교를 통해 근대성을 내면화하기 시작한 전도부인(Bible Woman)에 착안하여 전도부인이 구여성과 신여성을 매개하는 과도기적 여성 인물이자, 근대작가들로 하여금 한국 여성과 일상화된 기독교 사이에 존재했던 여성주제들에 대한 탐색을 심화시킨 문학적 제재였음을 밝혔다. 신여성 작가의 소설과 신여성 모델소설이 창작되기 이전 전도부인은 석진형, 김일엽, 전영택의 소설에서 구여성에게 전통적 여성의 삶과 획기적으로 구분되는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여성계를 대표하는 직업여성으로 부각된다. 나아가 전도부인은 신여성 인물이 정착한 이후에도 여러 장편소설에서 기독교 농촌계몽운동, 기독교적 혼인율, 여성해방과 기독교에 관한 다양한 여성주제를 탐색하도록 만든 유용한 소재였다. 전도부인 최용신(崔容信)을 모델로 한 심훈의 『상록수』는 채영신을 세속화된 전도부인으로 형상화하여 종교적 열정을 농촌계몽운동에 수렴시킨 소설이고, 김말봉의 『밀림』은 전도부인 삽화를 통해 신자 간의 결혼만을 허용하는 기독교적 혼인율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 작품이며,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는 봉건적 부덕을 상징하는 소재로서 전도부인을 설정하여 그와 대립하는 여성해방의 주제를 전달한 소설이다. 전도부인은 근대적 여성 인물의 모색이라는 소설사적 과제에 과도기적 역할을 담당한 문학적 전형이자, 신여성에 편중된 근대적 여성상의 한 측면을 새롭게 드러내는 역사적 존재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ible Woman(傳道婦人), who began to internalize modernity through Christianity before the New Woman(新女性), from the New Novel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modern novel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ible Women were transitional female characters that mediated between old women and New Women. By the Bible Women as subject matters, modern writers deepened their literary exploration on feminist themes existed between Korean women and generalized Christianity. Before modern novels by New Women writers and roman à clefs on real New Women, Bible Women presented old women with new life possibilities that were radic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women's lives as well as stood out as career women representing the women's world in the novels of Jin-hyeong Seok, Il-yeop Kim, Young-taek Jeon. Even after New Woman characters were settled in Korean modern novels, Bible Women, in addition, proved to be useful matters for a number of novels to explore a variety of feminist themes; Christian v narod movement, Christian marriage law, women's liberation. Modeled on Bible Woman Yong-shin Choi(崔容信), Hoon Shim's Evergreen Tree is a novel that concentrates religious fervor on v narod movement by characterizing Young-shin Chae as a secularized Bible Woman. Mal-bong Kim's Jungle raises ethical questions about the Christian marriage law, which only allows marriages between believers by means of the episode of the Bible Woman character. Man-sik Chae's After Leaving A Doll's House is a novel that conveys the theme of women's liberation by characterizing the Bible Woman as a symbol of the virtues of feudal women. To conclude, the Bible Woman is a literary type that played a transitional role in the Korean modern novel's historical task of finding a modern female character, and a historical being that reinforced an aspect of the modern female figure that was biased toward the New Woman.

목차

1. 서론: 전도부인과 신여성
2. 과도기적 여성 인물로서 전도부인의 소설적 수용
3. 전도부인을 통한 여성주제의 확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예람. (2023).전도부인(Bible Woman), 한국 근대소설 속 신여성(New Woman) 이전의 여자들. 구보학보, (), 11-65

MLA

김예람. "전도부인(Bible Woman), 한국 근대소설 속 신여성(New Woman) 이전의 여자들." 구보학보, (2023): 1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