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할극 중심 교양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86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Changing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Role-playing Oriented Liberal Arts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문희진 김영순 손효한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4호, 159~1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역할극을 활용한 교양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양 수업에참여한 간호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으며, 이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이주민과의 직접적인 경험이 부족하여 다문화에 대해 ‘무관심’ 하거나 ‘불편한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간호대학생들은 다문화 역할극 과정을 통해 타자를 이해하게 되고 존중하게 되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교양 수업 과정에서 향후 다문화사회에서 가져야할 태도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는 자신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변화부터 다문화사회에서 상호작용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인식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다문화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학습자의 ‘다양한 문화적 호기심’을 이끌 수 있는 내용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이는 학습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무관심하거나 불편한 감정을 해소시키는 역할을한다. 둘째, 역할극 활동 전,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학습자들이 역할극 대본을 작성할 때의 ‘문화적 차이’와 ‘언어 장벽(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은 일회성이 아닌 장기간 교육과정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이주민의 언어, 문화, 경험, 가치관 등을 포함한 ‘문화 교류 활동’을 함께함으로써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으로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장기적으로 올바른 다문화인식을 내면화시킬 수 있으며, 이주민과의 상호문화소통을 통해 그들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ing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iberal arts classes using role-playing, and to present multicultural education measur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iberal arts classes, and these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first,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were “indifferent” or had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multiculturalism due to a lack of direct experience with migrants. Second, college students came to understand and respect others through the multicultural role-playing process. Third, research participants came to think about the attitudes they should ha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during their liberal arts class. This has led to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all people interact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regarding bo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future multicultural education plans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gin with content that can lead to “various levels of cultural curiosity” among the learners. This plays a role in relieving the indifferent or uncomfortable emotions that learners have. Second, before the role-playing activities, education that can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other cultures should be prioritized. This can reduce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 when it comes to ‘cultural differences’ and ‘language barriers’ (communication) when learners write their role play scripts. Finally,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s a long-term curriculum rather than a one-off, and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mutual cultural capabilities by engaging in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including the involvement of the migrants' language, culture, experiences, and values. This can help students internalize their necessary multicultural awareness on a long-term basis. It can also be a way for them to understand their foreign counterparts more deeply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mutual cultural communication with them. Through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rocess of changing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percep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useful basic data for the progr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can promote multicultural awareness for college students as well as for other learn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 웹 콘텐츠와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프로세스 자동화 수업 설계 및 학습자 반응 분석
- 대학생의 코칭주제에 관한 주관성 연구
- 역할극 중심 교양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의 교양수학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
- The use of CANVAS LMS in remote academic EFL writing classes: Its benefits and limitations
- 2010년대 한국 여성 과학소설의 교양교육적 함의
- 고전읽기 교과목의 토론 방식 고찰
- 토론-논증적 글쓰기 통합모형 수업사례 연구
- 대학생 필자의 글쓰기 과정에서 챗GPT에 대한 질문 양상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목차
- 유럽의 Liberal Arts&Science 모델을 접목한 학부 교양교육의 개선 가능성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