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이용수 45

영문명
A Case Stud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Local Communities: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Field Experienc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강향숙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4호, 201~2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서 대학생의 현장실습 프로젝트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과 현장실습 효과를분석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의 4년제 대학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 6명이다. 수업 운영은 15주간으로 문화예술교육현장이해와 탐색, 현장실습 준비 및 계획, 현장실습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개별면접과 포커스그룹면접(FGI)을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서현장실습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자신감 향상이 확인되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인성 함양으로발현이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각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진로와 취업 의사결정에 비전을 품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들의 문화예술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자신감 고취 및 인성을 함양하는 실천의 동기부여가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교양교육으로서의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문화예술교육 분야로의진로와 취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은 직무역량 교양과목을 운영하는 기초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사료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earning by analyzing program development plans and field practice effects through college students' field practice projects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the community based on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Fiel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It aims to elevat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students who took the liberal arts course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Class operation was conducted for 15 weeks, understanding and exploring the field of cultural arts education, preparation and planning for field practice, and field practice project. As for the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confirmed that self-confidence was im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programs for field practice and case analysis in cultural arts edu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rough cultural arts education field practice project activities, the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found their identity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and developed character. Third,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mprint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helped them to have a vision for career and employment decision-making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llege students were motivated to practice cultivating their character and instilling confidence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s programs. In addition, awareness of cultural arts edu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s a liberal arts education has increased, and interest in career and employment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education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ultural arts education field’ in cultural arts edu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operating job competency liberal arts cour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향숙. (2023).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17 (4), 201-219

MLA

강향숙.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17.4(2023): 201-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