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0년대 한국 여성 과학소설의 교양교육적 함의
이용수 151
- 영문명
- Lib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Women’s Science Fiction in the 2010s: Focusing on Cheon Seonran’s A Thousand Blu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송다금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4호, 87~1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0년대 소설에서 부상한 여성 SF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초래한 새로운 현실 속에서 ‘포스트휴먼’의 가능성을 다채롭게 상상하는 서사적 성과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대한 연구도 포스트휴먼의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연구 경향은 크게 여성과 과학 간의 결합을 긍정하는 테크노페미니즘과 비장애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연구로 대별된다. 그런데 이들 연구에서 인간과 비인간을 포괄하는 동물성에 관한 관점이 미진하다. SF에 대한 논의는 불가피하게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증대된다고 볼 수 있는 생명 경시 및 도구주의적 착취와 정면으로 맞닥뜨리는 일이다. 따라서 인간-비인간의 소수자성, 취약성, 동물성의 문제는 포스트휴먼 사회의 궁극적 과제가 될 수밖에 없으며 SF 논의에서도 핵심이 된다. 포스트-휴머니즘이 ‘더 나은’ 인간 이후를 꿈꾸는 것이라면 응당 ‘인간을 포함한동물’에 초점을 맞추어야 마땅하다. 그리하여 본고는 교양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토론 주제 마련을 위한 사유의 범주를 생성하고자 기존 논의에 동물의 축을 더해, 천선란의 소설 천 개의 파랑에 나타난소수자성과 취약성 그리고 동물성이라는 세 개념 간 상관관계를 논한다. 살펴본바, 이 소설의 교육적 함의는 장애로써 인간과 동물을 연결하고, 오늘의 연장선상에서 근미래에 도래할 과학기술 사회의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포스트휴먼의 사회가 가장 낮은 자리에서부터 설계되어야 함을 지적하는 데 있다. 또한, 이 소설은 단지 바람직한 인간-동물 간 관계를 설정하여 문제의 지점을 봉합하기보다는논쟁의 지점을 열어둔다는 점에서 토론할 거리를 생성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소설을 통해 포스트휴머니즘 논의에 종의 축을 더해 사고함으로써 사회를 어떻게 재설계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논의의 장이마련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emergence of women's science fiction in the 2010s is notable for its narrative achievements in imagining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osthuman’ in the new reality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on women’s science fiction has also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posthuman, with two main research trends: technofeminism, which affirms the union between women and science, and critical posthumanist research on ableism. However, these studies lack a perspective on animality that encompasses humans and nonhumans. The discussion of science fiction inevitably confronts the disregard for life and instrumentalist exploitation, which can be seen as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the issues of human and non-human minorities, vulnerability, and animality are the ultimate challenges of a posthuman society and are central to the discussion of science fiction. If posthumanism dreams of a ‘better’ post-human world, it should focus on ‘animals, including humans’.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categories of thought for discussion topics that can be utilized i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paper adds the animal axis to the existing discussion and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concepts of minorities, vulnerability, and animality in Cheon Seonran’s science fiction novel A Thousand Blue. As we have see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novel are that it connects humans and animals through disability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technological society that will come in the near future as an extension of today, pointing out that the posthuman society should be designed from the lowest position. In addition, the novel’s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it creates a point of debate, rather than simply sealing the issue by establishing a desirable human-animal relationship. The novel shows that by adding a species axis to the posthumanist discussion, we can start to think about how to redesign society.
목차
1. 서론
2. 『천 개의 파랑』의 성장하는 주체와 소수자성, 취약성, 동물성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 웹 콘텐츠와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프로세스 자동화 수업 설계 및 학습자 반응 분석
- 대학생의 코칭주제에 관한 주관성 연구
- 역할극 중심 교양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의 교양수학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
- The use of CANVAS LMS in remote academic EFL writing classes: Its benefits and limitations
- 2010년대 한국 여성 과학소설의 교양교육적 함의
- 고전읽기 교과목의 토론 방식 고찰
- 토론-논증적 글쓰기 통합모형 수업사례 연구
- 대학생 필자의 글쓰기 과정에서 챗GPT에 대한 질문 양상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목차
- 유럽의 Liberal Arts&Science 모델을 접목한 학부 교양교육의 개선 가능성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