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세대론’에 매몰된 ‘청년’ 다시 보기

이용수 53

영문명
Revisiting 'Youth' buried in 'Youth Generation Theory' agai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outh issue awareness of local youth
발행기관
한국융합코칭학회
저자명
장기환
간행물 정보
『융합코칭저널』제2권 제1호, 23~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년 세대주의는 민주주의적 합리화와 여론 수렴의 효율성을 위해 세대로 묶어서 보는 단순화의 시도가 아닐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청년 세대론’ 이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현 상황이 이를 뒷받침한다. 청년 세대론은 세대 내 이질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청년에 대한 편견과 차별 및 고정관념을 재생산하는 점, 청년 세대를 논하는 데 있어 청년 당사자성이 결여된 점, 청년 세대와 타 세대와의 대립 구도 심화 등의 문제를 낳고 있다. 그렇기에 ‘청년 세대론’ 이 활용되고 있는 방식에서 벗어나 실제 청년들의 목소리는 무엇인지 명확하게 이해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현재의 청년 세대론으로 구성된 청년 담론과 실제 청년이 느끼는 청년 문제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순차적 탐구 혼합연구방법에 따라 문헌 조사와 심층 면접 조사를 통해 대전 지역 청년들이 생각하는 ‘청년이 느끼는 실질적, 근본적 문제’를 도출 이에 기반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청년들이 문제라고 여기는 담론에 대해 종합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이 느끼는 실질적, 근본적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적 해결 과제로 ‘성인 이행기 지원체계 마련’, ‘표면적 지원을 넘어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청년 정책 방향성 재고’, ‘청년 정책을 시민 정책의 테스트베드로 활용’ 등의 과제가 도출되었다. 장기적 해결 과제로는 ‘청년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연구의 활성화’, ‘청년으로 이어지는 아동 청소년기 시기의 전인적 교육 강화’ 등의 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과제를 이행하여 하버마스가 말한 ‘이해지향적 의사소통’ 을 실현, 사회의 민주적 역량과 행위의 성찰성을 생성하고 청년의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Isn't youth generationalism an attempt of simplification by grouping into generations for the sake of democratic rationalization and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public opinion?” This is supported by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youth generation theory” is used negatively used. The youth generation theory is causing problems such as reproducing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stereotypes against young people without considering heterogeneity within the generation, lack of youth parties in discussing the youth generation, and intensifying confrontation with other gene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clearly understand what the actual voices of young people are, away from the way the “youth generation theory” is being used.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youth discourse composed of the current youth generation theory and the youth problem felt by the actual youth. Following exploratory sequential mixed methods, literatu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derive “real and fundamental problems felt by young people” in Daeje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ractical and fundamental problems felt by young people. Priority tasks such as “preparing an adult transition period support system,” “rethinking the direction of youth policy that can provide practical help beyond surface support,” and “using youth policy as a test bed for civic policy” were derived. Long-term tasks such as “activating research to look into young people's lives and gather their opinions” and “strengthening holistic education in the child-adolescence period leading to young people” were derived. By implementing the derived tasks, it is expected that Habermas will realize what he called “understanding-oriented communication,” create a reflection on society's democratic capabilities and action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people.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기환. (2023).‘청년 세대론’에 매몰된 ‘청년’ 다시 보기. 융합코칭저널, 2 (1), 23-50

MLA

장기환. "‘청년 세대론’에 매몰된 ‘청년’ 다시 보기." 융합코칭저널, 2.1(2023): 2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