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정책에 대한 비판적 소고

이용수 30

영문명
A Critical Reflections on Youth Policy: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융합코칭학회
저자명
한건환
간행물 정보
『융합코칭저널』제2권 제1호, 5~2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청년 정책의 안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청년기본법이 제정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국내에서 실시한 청년 정책의 출발과 흐름을 분석하고, 국내 청년정책 연구자들이 제안하는 다양한 대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현재 우리나라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책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 생애 발달 관점의 연구 필요성’ 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청년 정책에서 다루어지는 청년의 개념은 매우 모호하다. 이 연령 범위에 해당하는 청년들의 신체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은 매우 이질적지만 아직 청년 정책을 다룬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체계적 연구들이 미진한 상태이다. 발달적 관점으로 청년 정책을 살펴보았을 때, 한국 청년을 위한 정책은 단순히 청년만을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영유아기와 아동기에 대한 분석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그들이 자라온 환경적 특성까지도 함께 분석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며 중년, 장년, 노년에 관한 연구까지도 포함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청년들이 향후 중년, 장년, 노년이 되었을 때 현재 청년 정책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미래의 청년을 위한 정책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코칭 분야 등 다양한 융합분야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청년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청년의 범위에 해당하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발달 맥락적 관점에서 장기적인 연구들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stabilise youth policies that are being implemented to address various issues of youth that are currently the subject of social concer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ses the development of youth policies in Korea since the enactment of the Youth Basic Law and examines various alternatives proposed by Korean youth policy researchers to suggest the need for youth research from a life-span development perspective, which is required for the sustainability of youth policies for young people in Korea. Currently, the concept of youth in youth policy is very vagu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in this age range are very heterogeneou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them in the field of youth policy. In order to understand youth policy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we need to analyse their infancy and childhood. Not onl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y grew up should be analysed, but also their middle, old age, and old age, which are equivalent to adults today. It is only when young people reach middle, old, and old age that we will be able to see how current youth policies are affecting them.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various convergence fields such as coaching. Therefore, if youth policies are to be successful, they will need to be supported by long-term, developmentally contextualised studies of individuals across the youth spectrum.

목차

I. 서론
II. 청년기와 성인기의 의미
III. 청년 문제 인식
IV. 청년 정책의 출발과 흐름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건환. (2023).청년 정책에 대한 비판적 소고. 융합코칭저널, 2 (1), 5-22

MLA

한건환. "청년 정책에 대한 비판적 소고." 융합코칭저널, 2.1(2023): 5-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