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비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
이용수 123
- 영문명
- Information-Privacy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of Customer: Focusing on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하리다 이환수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7권 제4호, 105~11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비자의 개인정보 활용과 프라이버시 보호 간 조화가 강조됨에 따라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염려의 결과에 대한 많은 학술적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개인정보의 주체인 소비자 관점에서 여러 개인적 요인이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정보프라이버시 관련 지식 수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도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PCO 모델과 보호동기이론을 바탕으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 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성별, 연령,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법지식, 학력, 소득 등 개인적 요인에 따른 정보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의 차이와 정보프라이버시 보호행동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염려 수준과 보호행동 사이에서 조절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보프라이버시 염려는 여성과 법지식이 높은 사람이 높고,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은 저연령, 높은 법지식, 고학력, 고소득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법지식이 염려 수준과 보호 행동의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분석 결과는 소비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개인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개인적 요인들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의 미치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이해하고 기존 이론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With the emphasis on balancing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privacy protection, there has been a lot of academic discussion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ivacy concerns and the consequences of those concerns. However,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that examine the impact of various individual factors of customer on privacy concerns and behavio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who are the subjects of person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role of privacy knowledge level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protective behavior based on the APCO model and the theory of motivation to protect. To this end, we examined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according to person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legal knowledge of privacy laws, education, and income, and test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ere higher among women and those with high legal knowledge,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were higher among those with low age, high legal knowledge, high education, and high income. We also found that legal knowledge had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In other words,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facto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privacy-protective behavio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existing findings on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on privacy concerns and protective behaviors and extends existing theori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모델 및 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기업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 조직공정성 및 집단주의 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CEO의 기업가정신과 사업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졸업자의 IT 자격 보유가 취업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분석
- 소비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
- 요구분석을 통한 소상공인 인사•노무 교육 및 컨설팅 지원방안 연구
- 표본 선택 모형을 통한 밀레니얼 세대의 인턴십 경험이 취업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소공인의 핵심역량과 장애요인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창업마이크로콘텐츠 운영현황 및 수요조사 사례 연구
- 피벗을 통한 창업기업의 Death Valley 극복 사례 분석
- 창업자의 글로벌 역량이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기업 핵심인재 역량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플립드 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개발 및 적용
- 중소기업의 특허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 반응: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C21)을 중심으로
- 시니어 재직자의 창업가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