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본 선택 모형을 통한 밀레니얼 세대의 인턴십 경험이 취업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139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 of internship experience of millennials on employment and wages through sample selec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류세자 이영민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7권 제4호, 79~9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의 대학 재학 중 인턴십 경험이 취업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인턴십 제도에 대한 실질적인 노동시장 성과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2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9) 자료를 활용하여 Heckman 2stage을 통해 프로빗 모형과 임금방정식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첫째, 모형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Heckman 2stage의 표본 선택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임금이 작을수록 표본에 선택될 확률이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Heckman 2stage의 1단계의 프로빗 모형을 통해 인턴십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턴십 경험은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성별, 성적, 수도권, 아버지의 교육 수준에 따라 취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Heckman 2stage의 2단계 임금 방정식 추정 결과 인턴십 경험은 임금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정규직의 경우 비정규직에 비해 임금이 약 22%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ternship experiences on the employment and wages of millennials during their college years to understand the actual labor market outcomes of internships. For this purpose, we utilized data from the 2020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9) to estimate a probit model and a wage equation using Heckman two-stage model. First, the model validity analysis confirms that the Heckman's sample selection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is study, exhibit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maller wages having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selected into the sample. Second, the first-stage of Heckman’s probit model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nship experiences on employment, revealing that internships positively impact employment prospects. This impa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gender, academic grade, metropolitan region, and the father's level of education. Third, in Heckman's two-stage wage equation estimation, it was found that internship experience did not influence wages, wherein the study showed that regular employees earned approximately 22% more than non-regular employe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기업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 조직공정성 및 집단주의 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CEO의 기업가정신과 사업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졸업자의 IT 자격 보유가 취업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분석
- 소비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
- 요구분석을 통한 소상공인 인사•노무 교육 및 컨설팅 지원방안 연구
- 표본 선택 모형을 통한 밀레니얼 세대의 인턴십 경험이 취업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소공인의 핵심역량과 장애요인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창업마이크로콘텐츠 운영현황 및 수요조사 사례 연구
- 피벗을 통한 창업기업의 Death Valley 극복 사례 분석
- 창업자의 글로벌 역량이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기업 핵심인재 역량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플립드 러닝 기반 협력적 그룹스터디 교육모델 개발 및 적용
- 중소기업의 특허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 반응: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제조업(C21)을 중심으로
- 시니어 재직자의 창업가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