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만성신장질환자에서 나타나는 요산과 빈혈과의 관련성
이용수 17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uric acid and anemia in Korean adul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양승범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1 No.1, 141~14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성신장질환이 있는 한국 성인의 고요산혈증과 빈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1)를 바탕으로 20세 이상의 성인 557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주요한 결과가 있었다. 관련 변수를 조정한 후, 정상요산군(남성, 요산[uric acid, UA] < 7.0 mg/dL; 여성, UA < 6.0 mg/dL)에 비하여 고요산혈증군(남성, UA ≥ 7.0 mg/dL; 여성, UA ≥ 6.0 mg/dL)의 빈혈 발생 교차비(odds ratio, OR)는 남성(OR, 2.00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3–3.165)과 여성(OR, 2.246; 95% CI, 1.315 –3.835) 및 만성신장질환 전체(OR, 1.719; 95% CI, 1.371–2.942)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고요산혈증은 만성신장질환을 가진 한국인 남녀 모두에서 빈혈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uricemia and anemia in Korean adul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Data from 557 adults (age ≥ 20 years) in the Eigh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were analyzed. Several key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 after adjusting for the related variables, the odds ratio (OR) of anemia (hemoglobin [Hb] < 13.0 mg/dL in men or < 12 mg/dL in women), using the normouricemia group (uric acid [UA] < 7.0 mg/dL in men or < 6.0 mg/dL in women) as a referen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for the hyperuricemia group (uric acid [UA] ≥ 7.0 mg/dL in men or ≥ 6.0 mg/dL in women) in overall population (odds ratio [OR], 1.719; 95% confidence interval [CI], 1.371–2.942), men (OR, 2.008; 95% CI, 1.013–3.165), and women (OR, 2.246; 95% CI, 1.315–3.835). In conclusions, hyperuricemia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anemia in both Korean men and women with chronic kidney diseas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치과 감염관리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 암 생존자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상태 및 행태 연구
- 승마기구 운동이 허리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만성신장질환자에서 나타나는 요산과 빈혈과의 관련성
- 치매 및 우울증 환자 대상 회상치유 프로그램 설계
- 감염예방 교육프로그램이 방문간호 간호조무사 교육생의 감염관리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와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이 중소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 및 연령대별 보건의료 이용율에 관한 연구
- 현장 유아교사의 교직관 분석
- 해양 원격의료 지원 개선을 위한 응급처치 담당자의 교육요구도 분석
- 조리전공학생의 학습동기(ARCS)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헬스케어 분야 인공지능 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자율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아동․청소년기 중요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가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종단분석
- 간호대학생의 온라인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보험 청구 데이터베이스에서 Chat GPT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실습 모델 연구
- 보건의료정보관리자 역할에 대한 대학생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