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양 원격의료 지원 개선을 위한 응급처치 담당자의 교육요구도 분석
이용수 211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 of Vessel First Aid Managers for Improvement of Marine Telemedicine Servic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서보휘 고대식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1 No.1, 87~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급안전재교육을 받은 교육생을 대상으로 상급안전신규교육과 해양원격의료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상급안전재교육을 실시한 교육생 190명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상급안전신규교육 교육요구도는 생명징후 측정법이 최우선 항목으로 선정되었고, 해양원격의료지도 유형별 교육요구도는 신경계, 순환기계, 외과계가 최우선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바다라는 시․공간적 제약과 선박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의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응급처치를 결정하기 위해 생명징후 측정법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장시간 근무 및 단조로운 일상생활이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신경계, 순환계 및 외과계의 환자 발생률이 높고 다른 계통에 비해 환자 발생 시 생명과 관련성이 높아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new advanced safety education and marine telemedicine service, and to identify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for trainees who have received advanced safety reeducation. Data from 190 trainees who conducted advanced safety retraining at the MarineCom were used for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ital sign measurement method was selected as the top priority for the new advanced safety education, and the nervous system, circulatory system, and surgical system were selected as the top priority for the educational need by type of marine telemedicine guid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on vital sign measurement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first aid by grasping the overall condition of the patient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Working and monotonous daily life acted as a cause of mental and physical stress, so the incidence of patients in the nervous system, circulatory system, and surgical system was high, and compared to other systems, it was judged that the demand for education was high because the patient was related to lif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고찰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치과 감염관리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 암 생존자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상태 및 행태 연구
- 승마기구 운동이 허리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만성신장질환자에서 나타나는 요산과 빈혈과의 관련성
- 치매 및 우울증 환자 대상 회상치유 프로그램 설계
- 감염예방 교육프로그램이 방문간호 간호조무사 교육생의 감염관리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와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이 중소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 및 연령대별 보건의료 이용율에 관한 연구
- 현장 유아교사의 교직관 분석
- 해양 원격의료 지원 개선을 위한 응급처치 담당자의 교육요구도 분석
- 조리전공학생의 학습동기(ARCS)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헬스케어 분야 인공지능 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자율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아동․청소년기 중요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가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종단분석
- 간호대학생의 온라인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보험 청구 데이터베이스에서 Chat GPT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실습 모델 연구
- 보건의료정보관리자 역할에 대한 대학생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