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대배심 제도의 현황 및 개선 논의

이용수 57

영문명
The Current Picture of the American Grand Jury System and Proposals for Its Reform
발행기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저자명
박형관
간행물 정보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5권 제2호, 75~11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사와 기소에 관한 결정이 적정해야 형사사법 정의가 실현될 수 있다. 나라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달성하고자 한다. 검사에게 독점적 소추권을 부여하는 곳도 있고 미국의 대배심처럼 국민이 참여하도록 하는 곳도 있다. 국민이 참여하면 절차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나 국민의 사법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높아진다. 역사적으로 대배심은 수사와 기소 과정에 국민이 주체로 활동하는 제도이다. 미국 대배심은 미국 건국 초기부터 범죄에 대한 조사와 기소 절차에서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아울러 여러 공공작용을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대배심이 검사의 수사나 기소를 위한 도구에 불과하고 비효율적이라는 비판도 받지만 여전히 많은 순기능을 수행해 왔다. 대배심은 기소 결정에 관여하고 주요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직접 담당하면서 경찰과 검사의 권한을 적절히 견제해왔다. 미국 내에서 대배심의 독립성을 높이고 증인 및 잠재적 피고인의 절차적 권리를 증진시키자는 개혁 논의가 오랜 기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를 받아들인 주들도 상당수이다. 수사와 기소를 단순히 분리하여 각기 다른 기관에 맡기는 것은 형사사법의 목표 달성에 오히려 역행할 수 있다. 미국 대배심 제도를 참조하여 국민이 수사와 기소 과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시점이다. 미국 내 대배심의 다양한 유형 중 한국의 실정에 맞는 모델을 찾아 수용할 필요가 있다. 대배심 제도를 도입한다면 중한 범죄에 대하여 대배심에 의한 기소 결정을 선택적인 것으로 하고 가능한 한 적법절차 원칙에 따른 절차적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대배심 제도를 운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Rendering the right decision in the investigation and indictment procedure is pivotal in achieving criminal justice. To that end, all nations by various means seek to accomplish this goal. Examples of this would include nations endowing exclusive charging authorities to the prosecutor while others allow lay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actual procedure. Citizen participation always carries the risk of undermining the efficacy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but it can also facilitate the average citizen's understanding of and increase trust in the system. Historically, the grand jury has been the institution by which citizens can play an active role in the investigation and charging process. Beginning in the colonial period, the American grand jury protected the citizen's right in investigation and charging procedure and served as a check on the validity and efficacy of public functions. Despite much doubt regarding the objectivity of the grand jury as a mere organ of the prosecution as well as concern about its efficiency, its role has for the most part proved to be positive. The grand jury by taking part in the actual investigation and then deciding whether or not to indict has been a check on the power of the police and prosecution in major cases. In the United States the grand jury operates in different forms. Some jurisdictions require grand jury indictments for felonies while others make them optional. In addition, there are many variations among jurisdictions in ensuring procedural rights in grand jury procedures. However, basic procedures such as beginning an investigation by way of subpoena and reaching indictment decisions through jury deliberations remain common. In the United States, the necessity for grand jury reform such as enhancing jury independence and ensuring procedural rights of the witness and defendant have long been and continues to be proposed. The mere separation of investigative power from charging power can hinder efforts in achieving criminal justice goals. Using the American model as a base for our nation, it would be expedient to allow for different organizations to exercise these powers independently. Furthermore, policies in which citizens can take on decisive roles in the investigation and charging process must be established and efforts to improve continue. By careful study of the various grand jury models in the United States, Korea has a good foundation in which to develop a grand jury model that would be most suitable to our nation. Specifically a model that would allow for optional grand jury indictments and where procedural rights are ensured.

목차

Ⅰ. 서론
Ⅱ. 미국 대배심 운영 현황
Ⅲ. 미국 내 대배심 개선 논의
Ⅳ. 시사점 및 도입 시 고려사항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형관. (2023).미국 대배심 제도의 현황 및 개선 논의.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5 (2), 75-115

MLA

박형관. "미국 대배심 제도의 현황 및 개선 논의."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5.2(2023): 75-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