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prototypes 군집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국내 여행행태 비교 연구
이용수 126
- 영문명
- Comparing domestic travel patterns between pre- and peri- COVID-19 pandemic: An application of the K-prototypes cluster analysis algorithm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노윤호 황영현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7권 제5호, 101~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범주형 자료와 수치형 자료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할 수 있는 K-prototype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전후의 국내 여행행태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의문화체육관광부 ‘국민여행조사’ 자료(n=21,161)를 이용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전후의 비교 결과, 근거리 방문증가 및 동반자 수와 여행 경비 지출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아울러 자신의 경험에 의존한 여행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자의 여행 비중이 감소하는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K-prototypes 알고리즘을 적용한 군집 분석 결과, 팬데믹 선언이전의 여행행태 군집은 ‘장거리 여행 집단’, ‘국내 여행 빈도가 높은 집단’, ‘친구/연인 여행 집단’, ‘어린이 동반 여행집단’, ‘고지출 여행 집단’과 ‘단체 관광 집단’의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팬데믹 선언 이후의 여행행태 군집에서 나타난변화는 ‘단체 관광 집단’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며, 이는 거리두기 정책의 직접적인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나머지5개 집단의 경우는 팬데믹 선언 이전의 집단의 특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갖는 시사점과 향 후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k-prototypes algorithm, capable of handling both continuous and categorical variables, to gain insights into the changes in travel patterns between the pre- and peri-COVID-19 pandemic periods. For the empirical analysis, data from the National Travel Survey conducted from 2018 to 2021 were extracted, specifically focusing on respon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n=21,161). A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eri-COVID-19 pandemic periods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including an increase in visits to short-distance destination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ravel companions and travel spending, an increased reliance on personal experiences as a source of travel information, and a decrease in travel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ravel pattern clusters demonstrated that six travel pattern clusters, namely ‘long-distance travel group’, ‘high-frequency travel group’, ‘friend/couple group’, ‘travel group with children’, ‘high-spending group’, and ‘group traveler’, remained consistent during the peri-COVID-19 period, except for the ‘group traveler’ cluster.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행복을 불러오는 영양소에 대한 단상(斷想)
- [편집인의 글] 관광 연구의 진일보를 위하여
- [연구노트] 액티브 시니어 관광자의 행동특성 연구
- ‘단골손님’과 한국적 외식서비스에 대한 접근
- 한국 카지노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K-prototypes 군집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국내 여행행태 비교 연구
- 국내 관광산업 생태계 네트워크 분석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통한 지역관광발전 수준 비교 연구
- 국내외 공유숙박 규제 정책의 비교 분석과 시사점
- 관광분야 규제정책 특성에 대한 분석적 논고
- 관광학연구 제4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