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비유왕의 對고구려 정책과 개로왕의 즉위 과정

이용수 86

영문명
A study on the policies of Baekje's King Biyu towards Goguryeo and the process of King Gaero's ascension
발행기관
북악사학회
저자명
이용호
간행물 정보
『북악사론』제18집,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5세기 백제의 국정 운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정책 사안은 고구려에 대한 대응에 관한 것이었다. 비유왕은 전지왕 대부터 온건한 對고구려 노선을 견지해온 해씨세력에 의해 옹립되었으며, 이에 재위 초반 이와 같은 전대의 정책적 노선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450년 백제의 對宋교섭에서 그 입장에 변화가 감지된다. 450년 북연계통의 풍야부를 내세운 송과의 교섭은 고구려와 송과의 불편한 관계를 드러내고, 이를 바탕으로 외교적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백제의 외교 전략이었다. 백제는 450년의 교섭을 통해 고구려를 견제하고, 對남조 외교에서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한편, 백제가 요구한 역림, 식점, 요노 등의 품목은 450년 무렵 백제가 필요로 했던 것을 엿볼 수 있다. 역림과 식점은 새로운 점복을 도입하여 통해 자신의 정책적 입지를 넓히려는 비유왕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요노는 체제 정비와 무기 도입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하였다. 풍야부의 파견과 요구 품목은 對고구려전의 정책이 점차 대결구도로 접어들고 있는 백제 내부의 상황을 보여준다. 455년 9월 비유왕은 한강에서 흑룡이 출현한 직후에 사망하였다. 비유왕은 사망 직전 3월 漢山에서 사냥하였는데, ‘한산’은 고구려와의 전쟁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등장하는 지명이다. 비유왕은 한산에서의 샤냥을 통해 자신의 군통수를 시험하며, 사실상 고구려와의 대결 구도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비유왕의 행보는 5세기 전반 백제의 온건한 對고구려 정책을 주도했던 해씨의 입장과는 배치되는 것으로 對고구려전을 놓고 해씨를 중심으로 하는 온건세력과 비유왕을 중심으로 하는 강경세력의 갈등은 격화되었을 것이다. 결국, 비유왕 사망할 무렵 해씨를 중심으로 하는 온건세력의 정변이 발생하였고, 개로왕을 중심으로 하는 강경세력과의 내전이 발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비유왕 사망 한달 뒤인 455년 10월 고구려가 백제를 침공하였고, 이를 신라의 구원군과 함께 물리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는 왕위계승 분쟁에 있어서 온건세력에 불리하게 작용하였으며, 결국 개로왕이 즉위하며 강경세력이 승리하였다. 해씨 등 對고구려전의 온건세력을 제압하고 성립한 개로왕 정권은 고구려에 대해 강경한 노선을 취할 수밖에 없는 명분적 한계를 갖고 시작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rucial policies in the governance of Baekje, a kingdom in the 5th century, with a focus on its response to the invasions by Goguryeo, a neighboring kingdom. King Biyu, who came from the moderate faction known as the clan “Hae” was established as the ruler, following a diplomatic approach of not provoking Goguryeo, which had been maintained since the reign of King Jeonji. However, a shift in Baekje's stance can be detected in the negotiation wi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particularly during the year 450. The negotiation with the Song Dynasty, mediated by Fungyabu, a North Korean envoy in the Northern Dynasties, aimed to und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Goguryeo, while maximizing diplomatic gains for Baekje. Through negotiations with Song Dynasty in 450, Baekje sought to constrain Goguryeo and strengthen its own influence. Additionally, the items demanded by Baekje from the Song Dynasty, such as “Yeok-rim”, “Sikjeom”, and “Yono”, indicate the needs and policies of Baekje around 450. Yeok-rim and Sikjeom signify the introduction of new military tactics to expand Baekje's policy position, while Yono implies a focus on military reinforcement and weapons acquisition. The dispatch of Fungyabu and the requested items reflect a shift in Baekje's policy towards a more confrontational approach with Goguryeo, revealing the internal dynamics within Baekje. In September 455, immediately before his death, King Biyu is recorded to have encountered a “Black Dragon” in the “Han River” region. Notably, King Biyu went hunting in “Hansan” in March, a region that frequently appeared in the context of conflicts with Goguryeo. His hunting in Hansan was likely meant to assert his control over the military forces, emphasizing the imminent confrontation with Goguryeo. These actions by King Biyu contradicted the moderate policies pursued by the Haesei faction, which had previously dominated Baekje's approach towards Goguryeo, indicating potential friction between the moderate faction led by the clan “Hae” and the hardline faction led by King Biyu. Following King Biyu's death, a significant shift occurred within the moderate faction led by the clan “Hae”, leading to an internal conflict with the hardline faction led by King Gaero. Approximately a month after King Biyu's demise, in October 455, Goguryeo launched an invasion on Baekje, which was eventually repelled with the assistance of a Silla relief force. This event undermined the legitimacy of the moderate faction, including the clan “Hae”, in the succession dispute, ultimately resulting in King Gaero ascending the throne and the victory of the hardline faction. Indeed, the rise of King Gaero, who suppressed the moderate faction and seized power, and his supporting faction inherently faced limitations in adopting a tough stance against Goguryeo.

목차

Ⅰ. 머리말
Ⅱ. 450년 對宋교섭과 사신 풍야부
Ⅲ. 역림·식점·요노 도입의 의미
Ⅳ. 455년 개로왕 즉위 과정과 對고구려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용호. (2023).백제 비유왕의 對고구려 정책과 개로왕의 즉위 과정. 북악사론, (), 5-34

MLA

이용호. "백제 비유왕의 對고구려 정책과 개로왕의 즉위 과정." 북악사론, (2023):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