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 분석을 통한 자치경찰관 채용제도 도입 방안
이용수 113
- 영문명
- Introduction plan for autonomous police officer recruitment system through core competency analysis by police job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허준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2호, 435~45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1년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전면 개정되어 자치경찰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법을 근거로 국가경찰사무와 자치경찰사무를 구분하고 있으나 국가경찰조직과 자치경찰조직을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다. 현재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신규 경찰관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사무와 역할이 다르므로 그에 맞는 역량을 갖춘 경찰관을 채용해야 할 것이다. 이에 자치경찰의 역량을 분석하여 자치경찰에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는 제도 도입을 제안한다. 경찰청에서 발간한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 가이드북」을 분석하여 자치경찰의 직무별 역량을 도출하였다. 자치경찰관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공통 역량인 ‘가치 역량’과 ‘직무태도 역량’ 및 ‘기타 역량’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가치 역량’과 ‘직무태도 역량’ 일부는 필기시험보다 인성 및 적성검사 또는 면접시험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1차 필기시험 평가 항목에서 제외시켰다. 이외 자치경찰관 역량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안으로 NCS 직업기초능력평가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기타 역량’을 평가하는 방안으로 기존의 필기시험 방식이 아닌 직무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사례 중심의 문항을 개발하여 적용시켜야 한다. 체력시험, 인성 및 적성검사, 면접시험은 현행 채용제도와 유사하게 운영하고 필기시험은 많은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필기시험의 반영 비율을 낮추고 체력시험 등의 반영 비율은 상향시켜야 한다. 이러한 자치경찰관 채용제도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전국 단위의 채용전담기관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2021, the 「Act 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was completely revised, an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mplemented in earnest. Based on this law, the national police affairs and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are divided, but the national police organization and the autonomous police organization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Currently, the national police force and the autonomous police force are not distinguished, and new police officers are recruited equally. However, since the duties and roles of the National Police and the Autonomous Police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hire a police officer with the appropriate competence. Therefore, it is proposed to introduce a system that analyzes the capabilities of the autonomous police and hires suitable personnel for the autonomous police. By analyzing the 「Core Competency Guidebook by Police Job」 publish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competencies for each job of the autonomous police were derived.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elf-governing police officers were identified as ‘value competencies’, ‘job attitude competencies’, and ‘other competencies’, which are common competencies. Among them, some of the ‘value competency’ and ‘work attitude competency’ were excluded from the evaluation items of the first written test because it is more appropriate to evaluate them through a personality and aptitude test or an interview rather than a written test.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use the NCS basic occupational competency evaluation as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evaluating the competence of autonomous police officers. As a way to evaluate ‘other competenc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case-oriented items that can evaluate job competencies rather than the existing written test method. The physical fitness test, personality and aptitude test, and interview test are operated similarly to the current recruitment system, and the written test needs many changes. In addition, the reflection rate of the written test should be lowered and the reflection rate of the physical fitness test should be raised. In order to operate such an autonomous police officer recruitment system, a nationwide recruitment agency will b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자치경찰 직무별 핵심역량 분석
Ⅳ. 자치경찰관 채용제도 도입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비행친구 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테러리즘 빅데이터 분석
-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 분석을 통한 자치경찰관 채용제도 도입 방안
- 다중밀집행사에 대한 영국경찰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억제이론의 명과 암
- 수사관의 직무열의에의 영향요인
- 세탁물 자연발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조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비행 청소년의 사이버 문제 도박 수준과 사이버 도박 진입 동기 요인의 관계 분석
- 경찰의 인권보호 활동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 양육자의 차별 피해 경험의 영향 요인
- 컬트적 종교의 종교2세 피해 방지대책
- 경비원의 비경비업무 수행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과 입법적 대안
- 학대 사건 대응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대예방경찰관의 역량모형 질적 연구
- 경찰활동에서의 성별통합
- 위기아동 보호를 위한 가정위탁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스토킹 피해 위험성 자가진단과 피해자 보호 서비스 연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