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활동에서의 성별통합
이용수 59
- 영문명
- Gender Integration in Korean Policing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상호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2호, 69~9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성별통합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실제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N=473) 설문조사를 통해 그 실태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경찰공무원들은 위험성이 높은 업무를 제외하고는 여성경찰이 남성경찰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수정역할, M=3.61)을 가장 선호했다. 위험성 여부와 무관하게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통합역할, M=3.34)에 대한 선호도 보통(M=3.00) 수준보다 높았지만 여성범죄자나 아동‧청소년 업무 등과 같이 특화된 업무 수행(전통역할, M=2.63)에 대한 동의 수준은 낮았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배경변수와 근무환경변수가 성별통합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최근 임용된 경찰관들(20대‧30대, 순경‧경장, 10년 미만 근무경험)은 통합역할을 가장 선호하는 등 기존 경찰관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성별통합은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자기효능감은 통합역할에 정(+)의 영향을, 전통역할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경찰공무원의 통합역할에 대한 선호는 이들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성별통합을 위한 한국경찰의 과제와 후속 연구 방향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gender integration were reviewd and the actual situation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of police officers(N=473) work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police officers most preferred female police officers performing the same tasks as male police officers except for high-risk tasks(Modified role, M=3.61). The preference for performing the same task regardless of risk(Integrated role, M=3.34) was higher than average(M=3.00), but the consent to performing specialized tasks, such as female offeders or children/juvenile work,(Traditional role, M=2.63) level was low. Second,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of police officers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gender integration. The recently appointed police officers(20s and 30s, less than 10 years of service experience et al.) showed a different attitude from the other police officers, such as preferring a Unified role the most. Third, gender integration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and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ct on the Unified role attitude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Traditional role attitude. Fourth, the preference for the Unified role of police offic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task of the Korean police for gender integration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ere examin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조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비행친구 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테러리즘 빅데이터 분석
-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 분석을 통한 자치경찰관 채용제도 도입 방안
- 다중밀집행사에 대한 영국경찰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억제이론의 명과 암
- 수사관의 직무열의에의 영향요인
- 세탁물 자연발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조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비행 청소년의 사이버 문제 도박 수준과 사이버 도박 진입 동기 요인의 관계 분석
- 경찰의 인권보호 활동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 양육자의 차별 피해 경험의 영향 요인
- 컬트적 종교의 종교2세 피해 방지대책
- 경비원의 비경비업무 수행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과 입법적 대안
- 학대 사건 대응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대예방경찰관의 역량모형 질적 연구
- 경찰활동에서의 성별통합
- 위기아동 보호를 위한 가정위탁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스토킹 피해 위험성 자가진단과 피해자 보호 서비스 연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