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Discrimination Experiences Towards Single-Parents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이나 이창배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2호, 221~2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 양육자의 차별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2021 전국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데이터 중 미성년 자녀를 혼자 양육하는 한부모가족 가구주 1,646명을 선별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약성 요인은 신체적 취약성, 사회적 취약성, 정서적 취약성으로, 보호 요인은 사회적 지원과 공적 지원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가족 양육자의 성별이 여성일 때, 나이가 어릴수록, 고등학교 졸업자가 중졸 이하 학력을 가진 사람보다 차별 피해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취약성인 우울감이 높을수록 차별 피해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부모가족 양육자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특히 여성 및 어린 연령의 한부모가족 양육자가 더 많은 차별 피해 경험에 노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우울감을 비롯한 정서적 취약성의 경우 한부모가족 양육자를 위한 정책 설계 시 경제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심리 및 정서 지원에도 중점을 두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가족과 관련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Single-Parent families in South Korea have been exposed to discrimination due to social prejudice and conservative views. Considering the rapid changes on family structure and the growing number of one-parent familie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mong single-parent families are needed to be identified. To identify the impact factors on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mong single-parent famil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1,646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 owners who raise underage children alone which had been conducted in 2021. Results suggest that gender, age, education, and depress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comprehensive approach including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to prevent victimization among one-parent families. Policy suggestions and contents that need additional analysi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비행친구 요인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테러리즘 빅데이터 분석
- 경찰 직무별 핵심역량 분석을 통한 자치경찰관 채용제도 도입 방안
- 다중밀집행사에 대한 영국경찰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억제이론의 명과 암
- 수사관의 직무열의에의 영향요인
- 세탁물 자연발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조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비행 청소년의 사이버 문제 도박 수준과 사이버 도박 진입 동기 요인의 관계 분석
- 경찰의 인권보호 활동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 양육자의 차별 피해 경험의 영향 요인
- 컬트적 종교의 종교2세 피해 방지대책
- 경비원의 비경비업무 수행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과 입법적 대안
- 학대 사건 대응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대예방경찰관의 역량모형 질적 연구
- 경찰활동에서의 성별통합
- 위기아동 보호를 위한 가정위탁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스토킹 피해 위험성 자가진단과 피해자 보호 서비스 연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