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역사교육 실행연구에 대한 방법적 탐구

이용수 144

영문명
A Methodological Exploration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지연정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46호, 215~267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31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육에서 실행연구가 보다 더욱 방법적으로 그리고 이론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그동안 실행연구 방법을 쓴 논문과 학술 자료들이 어떠한 내용과 특징 그리고 문제점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역사교육에서 이루어질 실행연구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그리고 더욱 충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역사교육에서 1999년 이후부터 2022년까지 축적된 실행연구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역사 교사들이 연구의 주체가 되어 수업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실행연구를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실행연구 과정인 ‘계획-실행-관찰-성찰’ 단계를 1차 적용한 실행연구가 상당수 차지하고 있었다. 1차 적용 후에 재계획한 수업을 다시 실행하고 관찰 및 성찰하는 2차 수행 과정이 생략되어 교수・학습방안이나 프로그램의 완전한 개선과 개발을 알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셋째, 자료 분석 절차나 방법적 측면에서 ‘관찰 기간’, ‘삼각 검증’, ‘동료 검증’ 등 자료의 분석 과정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질적 연구에서 중요한 방법론적 타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넷째, 실행연구 형태로는 공동 연구보다는 개인 연구자 중심의 실행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역사교육에서 실행연구가 앞으로 더 확산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행연구의 연구 방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연구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자료 분석 타당도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협력적 실행연구의 확산으로 교사연구 공동체의 전문지식을 발현시키며, 교사연구자들의 노동력을 분담하여 교사연구를 지속시킬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previously published action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purpose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the research topics, and the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from 1999 to 2022, Firstly, history teachers were utilizing action research as a means to improve their classes and curriculum. Second, many action studies that applied the first step of ‘planning-action-observing-reflecting’, which is an action research process. After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performance process of re-action, observing, and reflecting on the re-planned class was omitted,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rough which process the class was improved and how students' learning effects changed in detail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ird, the validity process was unclear in terms of data analysis procedures and methods, so it was insufficient to verify to what ex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d an effect on the educational field. Lastly, in the form of action research, there were many action research centered on individual researchers rather than collaborative research. In order for action research to spread further in history education, first, a deep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method of action research must be preceded and systematically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outline the criteria for data analysis valid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showcas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 research community by conducting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nd to continue teacher research by sharing the labor of teacher researchers.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과 수업 개선으로서 실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국내 역사교육에서 실행연구의 특징과 문제점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연정. (2023).국내 역사교육 실행연구에 대한 방법적 탐구. 역사교육연구, (), 215-267

MLA

지연정. "국내 역사교육 실행연구에 대한 방법적 탐구." 역사교육연구, (2023): 215-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