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반중 감정’과 역사교육

이용수 120

영문명
High School Students' Anti-Chinese Sentiment and History Teaching: Students' Imaginings of China and Korea at Seoul's A High School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김육훈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46호, 177~21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반중 감정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진다. 이 글은 고등학생들이 중국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고, 그 감정의 성격과 변화 가능성을 평가하고, 역사교육자의 역할을 생각해 본 결과다. 17세 전후의 많은 고등학생은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품고 있다. 이들은 중국이 한국 문화를 자기 것이라 우긴다거나, 위협적이라 여기며, 또 문명화되지 않은 공산주의 국가로 인식하고 있다. 고등학생들의 ‘중국 상상’은 미국・서유럽・일본을 선진국으로 상상하고, 한국을 번영하는 신흥 선진국으로 여기는 행위와 맞물려 있다. 학생들의 반중 감정은 종종 진실성이 의심스럽고 출처가 불분명한 정보에 근거하고 있다. 부정적 감정이 널리 퍼져 있지만, 체계적인 지식에 기반하지 않고, 그래서 탄탄히 뿌리내렸다고 보기는 어렵다. 극단적인 반중 선동을 관리할 수 있다면, 대규모 집단행동으로 이어질 정도는 아니다. 학생들의 반중 감정은 혐오와 유사하지만, 교사가 성급하게 혐오로 분류하고 옳고 그름을 따르라고 강요해서는 안 된다. 이 감정은 문화적으로 형성된 것이며 오랜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 역사 교육자는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을 성찰하도록 돕고 대안적인 관점을 상상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역사 교육자들은 교과서 서술이 배타적인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는지 돌아보아야 한다. 그리고 학습을 통해 문해력을 가르치는 데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역사교육 논의에서 감정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학생들이 교실 안팎을 넘나들면서 생각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과 학습 과정을 다시 설계해야 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reports indicating a rapid spread of anti-Chinese sentiment among young people.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propagation of such senti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alyzes its nature, assesses the likelihood of its transformation, and explores the role of history teachers in this context. Many high school students, around the age of 17, harbor negative feelings toward China. They perceive China as attempting to erode Korean culture, causing harm, and view it as an uncivilized communist nation. This act of “imagining of China“ by high school students was intertwined with the act of imagining the United States, Western Europe, and Japan as developed nations, while regarding South Korea as a prosperous and emerging developed country. Students' anti-Chinese sentiments often rest on information that is dubious in terms of its veracity and unclear in terms of its origin. Although widespread, this anti-Chinese sentiment lacks a solid foundation in systematic knowledge and is not deeply entrenched. Consequently, managing extreme anti-Chinese propaganda is unlikely to lead to collective action. While anti-Chinese sentiment shares similarities with hate, it should not be hastily labeled as such, nor should it be compelled to conform to correctness. These sentiments are culturally shaped and rooted in a long history of experiences. History educator should assist students in reflecting on their emotions and encourage them to envision alternative perspectives. History educators ought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textbook narratives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n exclusive national identity. Great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eaching literacy skills. Additionally, the role of emotions in historical education discussions should be actively evaluated, and curricula and lessons should be restructured to encourage students to think both within and beyond the confines of the classroo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A 고등학교 학생들의 중국에 대한 감정
Ⅲ ‘반중 감정’의 생성과 균열
Ⅳ. ‘반중 감정’의 역사교육적 함의와 교육적 개입
Ⅴ. 맺음말 - 반중 너머를 상상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육훈. (2023).고등학생의 ‘반중 감정’과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 (), 177-214

MLA

김육훈. "고등학생의 ‘반중 감정’과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 (2023): 177-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