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이용수 526

영문명
Challenges Left by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s in History and Historical Inquiry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백은진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46호, 7~65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31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각론 체제와 역사과 교육과정의 체계를 돌아보며 향후 역사과 내에서 대안들을 내놓으려 애써야 할 쟁점들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이라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속에서 체계적으로, 즉 낱낱의 부분이 일정한 원리에 따라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있는가? 둘째,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최근 20여 년간 ‘역사교육학의 역사’, 특히 역사과 내 여러 논의와 연구 결과들에 비춰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함양 교육과정을 표방하면서 역량의 총체성(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을 강조하였다. 각 교과(목)의 내용 체계는 역량의 범주에 따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로 나누었다. 이때 ‘과정・기능’은 ‘교과 고유의 사고 및 탐구 과정 또는 기능’으로 정의하여 각 교과가 교과 고유성이나 탐구를 교과 나름의 원리와 방법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영역’과 ‘핵심 아이디어’의 관계는 각 교과(목)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설정할 여지가 있었고, 민주시민 교육이나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총론 고시 이전의 ‘생태전환 교육’)과 같은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각 교과(목)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로 반영할지는 각 교과의 몫이었다. 그러나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역사 교과 고유성과 역사 탐구의 의미와 이를 가르칠 방법에 대한 체계성과 타당성 측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역사과’는 ‘역사’를 중심으로 단일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공간이나 세력이라고 보기 힘들다. 오히려 여러 입장과 경향들이 더 나은 선택과 결정을 위해 서로 대안을 제시하고 토론, 설득, 실행하며 이론과 실천 영역 모두에서 검증을 거쳐야 하는 공간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그런 점에서 향후 역사 교과 고유성과 역사 탐구를 비롯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주요한 쟁점들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역사과 내 소통적 연구가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history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is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organized systematically, that is, according to certain principles,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econd, is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appropriately structured in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especially in various discussions and research results within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the totality of competencies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attitude) while claiming to be a competency development curriculum. At this time, 'process/skill' was defined as 'subject-specific thinking and inquiry process or skill' so that each subject could give meaning to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s or inquiry with subject-specific principles and methods. In addi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key idea', each subject had room for setting in its own way. It is difficult to see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as a space or force that can make a single decision centered on ‘history’. Rather, it seems reasonable to view it as a space where various positions and tendencies must go through verification in both theory and practice, suggesting alternatives, discussing, persuading, and practicing each other for better choices and decisions. In this respect, communicative research within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is important to provide alternatives to major issu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ing the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 in history and historical inquir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Ⅲ. 교과 역량, 과정·기능: 역사 교과 고유성에 대해
Ⅳ. 영역, 핵심 아이디어: 역사 탐구에 대해
Ⅴ.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은진. (2023).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역사교육연구, (), 7-65

MLA

백은진.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역사교육연구, (2023): 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