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챗GPT에(게) 묻다

이용수 608

영문명
Ask ChatGPT: Kim Dae-sik and ChatGPT, translated by Choo Seo-yeon and others, “The Future of Humanity Ask ChatGPT” (East Asia, 2023)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화선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4권 3호, 233~25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OpenAI에서 개발한 최첨단 자연어 처리(NLP) 모델 챗GPT와 뇌과학자인 김대식 교수가 인간관계와 사랑, 정의와 행복, 인류가 직면한 위험, 신의 존재와 죽음과 같은 주제로 주고받은 문답을 소개하고 있는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가 인공지능 시대의 출발점에 선 독자들에게 시사하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살피고 있다. 먼저 챗GPT와 구글 Bard,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검색엔진 ‘뉴 빙(new bing)’에 차례로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에 대한 서평을 작성해달라고 요구한 후, 각 답안의 내용과 구성 방식을 분석해보았다. 챗GPT가 작성한 서평은 ‘전반적인 소개-책의 구성 방식과 주제-챗GPT의 한계와 의의-총평’ 형식으로 제시되었고, 글의 흐름은 전반적으로 매끄러운 편이지만 글쓴이의 참신한 관점을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구글의 바드가 제시한 글은 동일한 어휘 사용, “또한”으로 시작하는 문장 형식의 반복 등이 나타났으며 인공지능 챗봇의 텍스트 생성방식이 개성과 독창성보다는 보편적인 요약과 간단하고 명확한 설명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다. GPT-4 모델을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검색엔진 ‘뉴 빙(new bing)’은 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인용하여 내용에 신뢰성을 높였고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를 의식하여 출처를 밝혀주었다. 인간과 기계가 나눈 대화 장면들을 살펴보며 대화가 갖는 의의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묻기-대답하기’가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이 되려면 그 배면에는 자기뿐 아니라 타자와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이 자리해야 한다. 그리고 대화를 지속하려면 의미를 발견해내는 리터러시(Literacy) 능력이 필요한데, 읽고 쓸 줄 아는 문해력은 행간을 읽고 맥락적 지식을 파악하는 역량을 전제로 한다. 이는 결국 빈틈을 채울 수 있는 상상력과 부분과 전체, 부분과 부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전체적 안목을 요구한다. 의미를 찾는 과정은 잉여와 외부를 사유하고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며,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고 하나를 말하면 열을 알아채는 눈치와 다름이 없다. 뉘앙스를 포착할 줄 아는 눈치란 인간이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감각하고 판단하는 데 필수적인 휴머니티의 영역에 속한다. 그래서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의 ‘에필로그Ⅱ’에 남긴 김대식 교수의 결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확률적 앵무새”가 그럴듯하게 흉내내는 목소리와는 미묘하게 다른 뉘앙스를 담고 있는 개별자들의 목소리를 구분해내는 안목은 능률과 확률, 실용이라는 이름으로 쉽사리 채울 수 없는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한다. 사유하는 인간으로서 존재하려면 ‘무엇을’이 아니라 ‘왜’를 질문해야 하고, 확률적 사고의 축이 아닌 우연성의 논리와 삶의 구체적 맥락에 기대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는다. 그리고 그 핵심에 긴 안목으로 묻고 대답하기를 반복하는 인문학이 자리한다.

영문 초록

This review examines the meaning of ChatGPT, a state-of-the-ar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model developed by OpenAI, and Professor Kim Dae-sik, a brain scientist,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on topics such as human relations, love, and happiness, risks facing mankind, God's existence and death. First, we asked ChatGPT, Google Bard, and Microsoft's search engine “Newbing” to write a book review on “The Future of Mankind Ask ChatGPT,” and then analyz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each answer. The book review written by ChatGPT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Overall Introduction-Book Composition Method and Theme-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ChatGPT-General Review,” and the flow of the article was generally smooth,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writer’s fresh perspective. Google’s Bard article confirmed that the text generation method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focuses on universal summaries and simple and clear explanations rather than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Microsoft’s search engine “Newbing,” based on the GPT-4 model, specifically cited the contents of the book to increase reliability and reveal the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issue of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Looking at the conversation scene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 thought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conversation. In order for “ask-answer” to be a process of generating meaning, curiosity, and curiosity about not only oneself but also others and the world must be placed behind it. In addition, to continue the conversation, a literacy ability to discover meaning is required, and literacy presupposes the ability to read between the lines and grasp contextual knowledge. This eventually requires the imagination to fill the gap and the overall perspective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the part and the part. The process of finding meaning is the ability to think about surplus and outside and grasp the context, and if you say one thing, it is no different from the sense of recognizing heat. The sensibility that knows how to capture nuances belongs to the realm of humanism, which is essential for humans to sense and judge an object or phenomenon. Therefore, Professor Kim Dae-sik’s conclusion in “Epilogue II” of “The Future of Humanity Ask ChatGPT” has great implications. The eye to distinguish the voices of individuals, which contain nuances subtly different from those that “probabilistic parrots” imitate plausibly, is based on humanities knowledge that cannot be easily filled with the names of efficiency, probability, and practicality. To exist as thinking human beings, we realize again that we must ask ‘why’ rather than ‘what’ and rely on the logic of coincidence and the specific context of life, not on the axis of stochastic thinking. And at the core of it, there is humanity that repeatedly asks and answers with a long-term perspective.

목차

1. 작가, 챗GPT의 등장
2. 챗GPT와 나눈 대화의 장면들, 하나
3. 챗GPT와 나눈 대화의 장면들, 둘
4. 챗GPT와 나눈 대화의 장면들, 셋
5. ‘묻기-대답하기’와 인문학의 역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화선. (2023).챗GPT에(게) 묻다. 리터러시 연구, 14 (3), 233-250

MLA

김화선. "챗GPT에(게) 묻다." 리터러시 연구, 14.3(2023): 233-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