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급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국내 연구 동향과 전망

이용수 4

영문명
Analysis of Trends and Prospects in Research o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Focusing on the Experimental Study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한 최영신 윤주연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6권 제3호, 51~7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2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의 현황과 연구 방법 등을 실험연구 중심으로 파악하고 중재 전략을 분석하여 특수교육대상자의 문제행동 예방 및 중재 방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에 대해 전망하고자 2005년 1월부터 2022년 12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급차원의 긍정적행동지원에 관한 학위 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38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연구는 2005년 처음으로시작되어 정서·행동장애연구에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특성은 영·유아, 21-30명을 대상으로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중재 방법 관련 특성에서 실험장소는 유치원(어린이집) 통합학급이 가장 많았고, 지원차원은 학급차원과 개별차원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종속변인으로는 문제행동과 대체행동에 대한 효과를 가장 많이 다루었다. 분석 결과: 분석대상 논문 모두 중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9편을 제외한 다수의 논문이 유지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지 않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가정과 연계하는 방안을 보다 활발히 진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급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연구의 범위를 중등이후 학생으로 확장시켜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methods of previous published domestic experimental studies o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o analyze trends of intervention strategies, in addition to the prospects of further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collected 38 studies o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cluding dissertations published in South Korea or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22. Results: The first study on class-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was published in 2005.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ost articles about class-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was th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econd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studies targeting infants and toddlers and 21-30 participants were the most common. An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intervention methods, kindergarten(childcare center) of inclusive classes were the most common, and support was the most common in combined supports at the class-wide with support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dependent variable was the effect on problematic and alternative behavio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of the studies reported the effects of an intervention and did not measure maintenance effects except for nine studies. Conclusion: In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carry out strategies and procedures to link with their families. In addition, the scope of research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the class-wide level should be expanded for post-secondary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한,최영신,윤주연. (2023).학급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국내 연구 동향과 전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6 (3), 51-72

MLA

김영한,최영신,윤주연. "학급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국내 연구 동향과 전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6.3(2023): 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