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V 드라마 『괴물』에서 장애의 이용

이용수 70

영문명
How is disability used in a TV drama The Monster?
발행기관
한국장애학회
저자명
조문순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학회지』제8권 제1호, 117~14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TV 드라마 『괴물』에서 장애가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고, ‘괴물’이라는 상징과 장애가 결합하여 어떤 의미를 보여주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Chatman의 서사 분석 틀을 활용하였다. 또한 이야기를 끌어가는 과정에서 장애가 어떠한 장치로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해당 드라마에서 장애인은 ‘아이와 같은 사람’, ‘의존해서 살 수밖에 없는 사람’, ‘폐를 끼치는 사람’, ‘불길한 이방인’으로 그려졌다. 또 장애와 결합한 ‘괴물’은 ‘왜곡된 심리와 거짓으로 일상에서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존재’, ‘이방인으로서 우리의 안정을 깨뜨리는 존재’를 의미했다. 이와는 다르게 비장애와 결합한 ‘괴물’은 ‘복수와 정의를 향한 불굴의 의지와 힘을 가진 사람’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플롯 안에서 장애는 ‘주인공의 선함을 강조하는 도구적 장치’, ‘주인공의 탐색 과정에서 진상을 모호하게 하는 요소’, 동정심을 이용하여 인물의 악함을 은폐하는 도구’, 그리고 ‘평화로운 동네를 불안하게 하는 이질적 요소’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드라마 『괴물』은 결국 장애를 ‘불쌍하고’, ‘의존적이며’, ‘이질적인’ 것으로 구성하고, 더하여 장애인을 ‘괴물’이라는 상징과 결합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사라져야 할 ‘공포감을 주는 이방인’으로 재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이러한 표상이 TV 드라마의 서사, 플롯, 상징 등과 결합하여 전방위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disability appears in the TV drama The Monste and what meaning it shows in combination with the symbol of the ‘monster’. For this purpose, Chatman's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was used. In addition, the study tried to analyze what kind of device was used in the creation of the plot. In the drama, disability consisted of ‘a person like a child’, ‘a person who has no choice but to live a dependent life’, ‘a person who causes trouble’, and ‘an ominous stranger’. In addition, the meaning of a monster combined with a disability was shown as ‘an existence that arouses fear in everyday life with distorted psychology and lies’ and ‘an existence that breaks our stability as a stranger’. Contrary to this, the meaning of monster combined with non-disability refers to ‘a person with indomitable will and strength for revenge and justic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disability was used as ‘instrumental device that emphasizes the goodness of the main character’, ‘elements that obscure the main character's search process’, ‘tool that conceals the evil of the character using sympathy’, and ‘heterogeneous factor that makes anxiety over a peaceful neighborhood’ in the process of plot development. These results eventually confirmed that disability is regarded as ‘pitiful’, ‘dependent’, and ‘heterogeneous’, and furthermore, combined with the symbol of ‘monster’, it is represented as a ‘frightening stranger’ that should disappear from our soc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at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s being reproduced in all directions in combination with the narrative, plot, and symbol of TV drama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문순. (2023).TV 드라마 『괴물』에서 장애의 이용. 한국장애학회지, 8 (1), 117-140

MLA

조문순. "TV 드라마 『괴물』에서 장애의 이용." 한국장애학회지, 8.1(2023): 117-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