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50세 미만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망막정맥폐쇄의 임상 양상 및 시력 예후
이용수 0
- 영문명
- Clinical Features and Visual Prognosis of Retinal Vein Occlusion in Those under 50 Years Old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정소연 신혜은 진희승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6, 490~49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50세 미만의 젊은 연령의 망막정맥폐쇄 환자들의 실제적인 임상 양상 및 시력 예후 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치료의 효과등을 분석한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망막정맥폐쇄로 진단받은 50세 미만 환자 3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 당시 나이, 성별, 과거력,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 망막부종, 치료 여부, 치료 횟수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39.53 ± 9.98세였고 망막분지정맥폐쇄 50%, 망막중심정맥폐쇄 44.4%, 절반망막중심정맥폐쇄 5.6%였다. 망막중심정맥폐쇄 진단 이전에 진단받은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가 38.9%였으며 새롭게 진단받은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는 13.89%였다. 47.6%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이 관찰되었다. 최초 나안 및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가 최종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01, 0.655, 0.423, p<0.001, <0.001, 0.01). 결론: 50세 미만 망막정맥폐쇄 환자에서 초기 시력 및 중심망막두께는 최종 시력과 중심망막두께를 반영하여 치료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시력 예후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젊은 연령이라도 합병증이 발생하면 시력 예후가 나쁠수 있으니 전신 상태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하며 특히 혈중콜레스테롤 농도 등을 포함한 전신적인 평가를 권장해야 할 것으로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and visual prognosis of retinal vein occlusion (RVO) in patients under 50 years of age.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of 36 patients under 50 years of age diagnosed with RVO from January 2016 to October 2021. Results: The mean age was 39.53 ± 9.98 years and 50%, 44.4%, and 5.6% had branch, central, and hemi-central RVO, respectively. Before the RVO diagnosis, systemic disease had been diagnosed in 38.9%. Further, 13.89% of the cases had a new systemic disease diagnosed after the diagnosis of RVO. Hypercholesterolemia was observed in 47.6%. The initial visual acuity (V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central subfield thickness (CS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inal VA, BCVA, and CST.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RVO under the age of 50 years, the initial VA and CST can be used as indicators to determine whether treatment is necessary by reflecting the final VA and CST. The initial VA and CST can also be used to predict the visual prognosis. Even at a young age, if complications occur, the visual prognosis of RVO may be poor, so an evaluation of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is essential, especially the blood cholesterol level.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와 당뇨황반부종 환자의 전방수 내 사이토카인 농도 분석
- 열공망막박리에서 공막두르기술 단독수술과 유리체절제술 병합수술의 장기간 맥락막두께 비교 분석
- 50세 미만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망막정맥폐쇄의 임상 양상 및 시력 예후
- 보툴리눔독소에 반응이 없는 본태눈꺼풀연축 환자에서 이마근걸기술
- 만성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망막과 맥락막혈관 변화
- 암 병력을 가진 3, 4, 6번 단독 뇌신경마비의 원인 분석
- SARS-CoV-2 백신 접종 후 뇌정맥동혈전증과 관련하여 발생한 안과적 이상 소견
-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 이형접합자에서 다초점인공수정체 삽입 후의 시기능 고찰 1예
- 열공망막박리에서 4개의 공막창을 이용한 유리체절제술
-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장기 임상 결과 및 ATN 분류에 따른 망막의 변화
- 양막콘택트렌즈와 일시적 양막이식술의 임상적 유용성 비교에 대한 연구
- 섬유주세포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YAP/TAZ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
-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 환자에서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후 발생한 전체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실태 조사
-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전인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체계적 고찰
-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실행(Yonsei Lifestyle Profile-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 평가도구의 성인(18~54세) 적용 가능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