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와 당뇨황반부종 환자의 전방수 내 사이토카인 농도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Analysis of Aqueous Humor Cytokines in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Diabetic Macular Edem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왕리령 김도균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6, 482~48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과 당뇨황반부종 환자의 전방수 내 사이토카인 농도를 분석하여 각 질환의 병인에 주요 기여를 하는사이토카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57명을 대상으로 각 그룹당 19명씩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당뇨황반부종, 정상 대조군 세 군으로 구분하였다. 각그룹당 전방 내 epidermal growth factor (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VEGF-C),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interleukin (IL)-3, IL-8, IL-6, IL-12p40,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 (ICAM-1) 농도를 측정한 후 사이토카인 농도 비교를 위해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군과 대조군 비교에서는 EGF, VEGF-C, MCP-1, HGF, IL-3, IL-8이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군에서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001, <0.0001, 0.004, 0.015, <0.0001, 0.014), 당뇨황반부종군과 대조군 비교에서는 EGF, VEGF-C, IL-3, IL-8이 당뇨황반부종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01, <0.0001, <0.0001, 0.005).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군과 당뇨황반부종군 비교에서는 EGF가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결론: 다양한 사이토카인이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및 당뇨황반부종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으며, 특히 EGF는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당뇨황반부종 환자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ytokine concentrations of aqueous humor in patients with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and diabetic macular edema (DME). Methods: Fifty-seven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exudative AMD, DME and control groups, each group has 19 patients. Aqueous levels of cytokines epidermal growth factor (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VEGF-C),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interleukin (IL)-3, IL-8, IL-6, IL-12p40,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 (ICAM-1) were investigated in each groups.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performed to compare cytokine concentrations. Results: Aqueous levels of EGF, VEGF-C, MCP-1, HGF, IL-3, IL-8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xudative AMD group than control group (p = < 0.0001, < 0.0001, 0.004, 0.015, < 0.0001, 0.014) and EGF, VEGF-C, IL-3, IL-8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ME group than control group (p = < 0.0001, < 0.0001, < 0.0001, 0.00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xudative AMD and DME groups, EG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udative AMD group (p = 0.001). Conclusions: Various cytokines were increased in patients with exudative AMD and DME. In particular, EGF showed a higher level in exudative AMD than in DME.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와 당뇨황반부종 환자의 전방수 내 사이토카인 농도 분석
- 열공망막박리에서 공막두르기술 단독수술과 유리체절제술 병합수술의 장기간 맥락막두께 비교 분석
- 50세 미만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망막정맥폐쇄의 임상 양상 및 시력 예후
- 보툴리눔독소에 반응이 없는 본태눈꺼풀연축 환자에서 이마근걸기술
- 만성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망막과 맥락막혈관 변화
- 암 병력을 가진 3, 4, 6번 단독 뇌신경마비의 원인 분석
- SARS-CoV-2 백신 접종 후 뇌정맥동혈전증과 관련하여 발생한 안과적 이상 소견
-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 이형접합자에서 다초점인공수정체 삽입 후의 시기능 고찰 1예
- 열공망막박리에서 4개의 공막창을 이용한 유리체절제술
-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장기 임상 결과 및 ATN 분류에 따른 망막의 변화
- 양막콘택트렌즈와 일시적 양막이식술의 임상적 유용성 비교에 대한 연구
- 섬유주세포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YAP/TAZ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
-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 환자에서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후 발생한 전체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실태 조사
-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전인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체계적 고찰
-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실행(Yonsei Lifestyle Profile-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 평가도구의 성인(18~54세) 적용 가능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