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열공망막박리에서 공막두르기술 단독수술과 유리체절제술 병합수술의 장기간 맥락막두께 비교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Long-term Comparison of Choroidal Thickness between Scleral Encircling and Combined with Trans-pars Plana Vitrectomy in Retinal Detachme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백준영 한정우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6, 473~48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두르기 단독수술과 공막두르기 및 유리체절제술 병합수술 후 중심오목하 맥락막두께의 변화를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안의 일차 열공망막박리로 본원에서 2019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공막두르기술을 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중심오목하 맥락막두께는 수술 전, 수술 후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로 총 5회 측정되었다. 결과: 총 33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공막두르기술만을 시행한 환자는 18명(54%), 동시 시행군은 15명(46%)이었다. 전체환자에서 맥락막두께는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다(p<0.05). 공막두르기술만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 6개월 후맥락막두께(260.51 ± 78.30 μm)는 동시 시행군의 맥락막두께(225.55 ± 75.24 μm)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두껍게 측정되었다(p<0.05). 또한 수술 전 맥락막두께는 황반부 박리가 있으면(276.46 ± 20 μm) 그렇지 않은 경우(223.93 ± 20 μm)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두꺼웠다(p<0.05). 또한 수술 전 중심오목하 맥락막두께와 시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일차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두르기술을 시행할 경우 중심오목하 맥락막두께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유리체절제술을 동시 시행한 경우 감소 정도가 컸다. 추후 맥락막의 변화 기전과 망막박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SFCT) before and after scleral encircling (SE), with or without trans-pars plana vitrectomy (TPPV), in patients with monocular primary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patients who underwent SE for monocular primary RRD between January 2019 and June 2021 and underw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uring follow-up. SFCT was measured independently at three regions before the surgery and 1, 2, 3, and 6 months after the surgery. The values were manually analyzed by two independent ophthalmologists. Results: Of the 33 eyes included in the study, 18 (54%) underwent SE alone, while 15 (46%) underwent SE with TPPV. SFCT gradually decreased after surgery in all patients (p < 0.05). The SFCT was significantly greater 6 months postoperatively in the SE alone group (260.51 ± 78.30 μm) compared to the SE with TPPV group (225.55 ± 75.24 μm) (p < 0.05). Macular detachment patients had significantly greater preoperative SFCTs (276.46 ± 20 μm) compared to others (223.93 ± 20 μm) (p < 0.05). Preoperative SF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visual acuity (p < 0.05), while the remaining SFCT valu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Conclusions: In primary RRD eyes, SFCT decreased over time after SE, more so when TPPV was also performe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SFCT change and its impact on RRD.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와 당뇨황반부종 환자의 전방수 내 사이토카인 농도 분석
- 열공망막박리에서 공막두르기술 단독수술과 유리체절제술 병합수술의 장기간 맥락막두께 비교 분석
- 50세 미만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망막정맥폐쇄의 임상 양상 및 시력 예후
- 보툴리눔독소에 반응이 없는 본태눈꺼풀연축 환자에서 이마근걸기술
- 만성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망막과 맥락막혈관 변화
- 암 병력을 가진 3, 4, 6번 단독 뇌신경마비의 원인 분석
- SARS-CoV-2 백신 접종 후 뇌정맥동혈전증과 관련하여 발생한 안과적 이상 소견
-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 이형접합자에서 다초점인공수정체 삽입 후의 시기능 고찰 1예
- 열공망막박리에서 4개의 공막창을 이용한 유리체절제술
-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장기 임상 결과 및 ATN 분류에 따른 망막의 변화
- 양막콘택트렌즈와 일시적 양막이식술의 임상적 유용성 비교에 대한 연구
- 섬유주세포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YAP/TAZ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
- 국소 망막박리를 동반한 망막열공 환자에서 레이저 망막유착술 시행 후 발생한 전체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실태 조사
-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전인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체계적 고찰
-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실행(Yonsei Lifestyle Profile-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 평가도구의 성인(18~54세) 적용 가능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