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 경령전에 대한 재검토

이용수 111

영문명
A Review of the Goryeo's Gyeongnyeongjeo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철웅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6집, 111~13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의 경령전에 대한 연구 성과가 여러 편 나와 있다. 그러나 연구 성과 간에 다소의 이견도 있어 이를 검토해 보았다. 먼저 경령전이 西上制인지, 아니면 昭穆制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경령전은 서상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당‧송 때까지 태묘를 비롯한 사당 제도는 서상제였으며, 고려 태묘도 서상제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왕과 왕비의 합사 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고려사󰡕 「후비」전과 예지에는 경령전에 왕비가 합사된 사실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경령전을 경기전의 크기와 비교해 볼 때 경기전 감실보다 경령전 각 실의 예단이 더 작다. 따라서 경령전의 각 실에는 태조와 역대 왕의 어진만 봉안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경령전은 송의 경령궁을 본 따 조성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경령궁은 도관으로 창건되었으며, 선대 황제의 어용을 처음으로 봉안하기 시작한 것은 천성 2년(1024) 즉, 고려 현종 15년이었다. 고려의 경령전은 태조의 신어전으로 건립되었으며, 현종 9년 이전에 이미 태조의 어용전이 있었다. 선대 군주의 신어전이라는 성격은 경령궁보다 고려의 성용전이 먼저 등장하였다. 송은 국초부터 어용전을 운용하였고, 이는 이전의 당과 동시대의 요도 마찬가지로 어용전이 있었다. 송의 경령궁은 남북조시대, 당 이래의 어용전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그리고 고려의 경령전도 이전 시대부터 존재했던 어용 숭배를 계승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령전이 경령궁의 영향을 받았다라고 보기 보다는 동아시아에 오래전부터 존재했던 화상 숭배의 전통을 수용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Gyeongryeongjeon of Goryeo was very important as a royal ancestral worship facility.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research result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research results, so this was reviewed again. First, It looked at whether Gyeongryeongjeon was Seosangje or Somokje.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seems that Gyeongryeongjeon was Seosangje. This is because until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e shrine system, including the Taemyo Shrine, was a Seosangje, and the Taemyo Shrine of Goryeo was also a Seosangje. And It reviewed the issue of the joint building between the king and the queen.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seems that only King Taejo and the previous kings were enshrined in each room of Gyeongryeongjeonl. Next, According to the studies so far, it was generally considered that Gyeongryeongjeon was built by imitating Song's Gyeongryeonggung. However, this view is open to reconsideration. Gyeongryeonggung was built as Taoist temple, and the first time portrait of the emperor was enshrined was in the 2nd year of Cheonseong(1024), the 15th year of King Hyeonjong of Goryeo. The characteristic of the predecessor monarch's Sinoeojeon was that Gyeongryeongjeon was before Gyeongryeonggung. Therefore, it is not clear whether Gyeongryeongjeon was built under the influence of Gyeongryeonggung.

목차

Ⅰ. 머리말
Ⅱ. 神座의 배치 문제
Ⅲ. 건립 경위와 봉안 대상에 대한 검토
Ⅳ. 경령궁 이전의 御容殿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철웅. (2023).고려 경령전에 대한 재검토. 역사문화연구, (), 111-136

MLA

김철웅. "고려 경령전에 대한 재검토." 역사문화연구, (2023): 11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