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교수역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143

영문명
Classifying Teaching Competency Types and Exploring Influencing Factors Using Latent Profiles Analysis: Focused on A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남교민 장유진 오서경 송지훈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9권 제3호, 255~28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 교수자들의 교수역량 수준별 집단 유형을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대한 개인 특성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A대학교에 재직 중인 교수자 4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여 328부의 데이터를수집하였으며, 표준화 점수(Z-score)를 활용하여 이상치를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302부를 잠재프로파일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교수역량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이도출되었고, 전문성 발달 단계를 참고하여 ‘적응형’, ‘성장형’, ‘유능형’, ‘숙달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개인 특성(성별, 계열, 경력)은 교수역량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지속성 있는 교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은 교수역량의 적응형 집단보다 숙달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프로그램 참여 후 적용한 교원은 적응형, 성장형, 유능형 집단보다 숙달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 차원에서 집단 유형별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해주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가 프로그램 참여 내용을 실제 수업 현장에 반영하도록 권장할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college faculty members’ group types for the levelof teaching competenc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o confirm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dividualcharacteristics on latent profile group typ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2 faculty members at A University using an online survey,and 328 pieces of data were collected. After removing outliers through Z-score, 302 were used for latentprofil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groups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competency, and we named the groups ‘adaptive’, ‘growth’,‘competent’, and ‘proficient’ referring to the expert development level, (2)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major, career) had a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effect on teaching competency based on the latent profile,(3) faculty members who participated in sustaining teaching support programs were in a higher probabilityaffiliated proficient group rather than an adaptive group, and faculty members who applied programcontent in their classes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proficient group rather thanan adaptive, growth, or competent group.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significant implication and the necessityof developing teaching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group types and constructing a system forcontinuous support.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colleges should encourage faculty members toapply the content of teaching support programs in their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교민,장유진,오서경,송지훈. (2023).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교수역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교원교육, 39 (3), 255-280

MLA

남교민,장유진,오서경,송지훈.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교수역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교원교육, 39.3(2023): 255-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