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와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디지털 시민성관련 성취기준 비교분석

이용수 402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in the 2015 and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최지혜 김민경 주소영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9권 제3호, 239~25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와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서 디지털 시민성 관련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민성 관련 선행연구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2015와 2022 기본교육과정의디지털 시민성 관련 교과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분석자 간 신뢰도 및 전문가 내용 타당도를 실행했다. 연구결과 2022 기본교육과정에서 디지털 시민성 관련 성취기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별분석 결과는 2015 기본교육과정에서는 국어과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2022 기본교육과정에서는 정보통신활용과가 가장 높았다. 학교급별 분석 결과는 2015와 2022 기본교육과정 모두 고등학교급이 가장높았으며, 디지털 시민성 영역별 분석 결과는 2015와 2022 기본교육과정 모두 기능영역이 높은 비중을보였다. 하위유형별 분석 결과는 기능영역의 합리적인 디지털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높았다. 결론 첫째, 특수교사는 디지털 사회를 인식하고 발달장애인이 디지털 세상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관심을가지며 교육역량을 키워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에서는 초등학교급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내용 선정 연구와 같은 생애주기별 디지털 시민성 관련 기초연구를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사는 전인적인 디지털 시민교육이 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in the 2015 and 2022 special education curriculum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or special need students in the future. Methods: In this study, digital citizenship-related subject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specialeducation curriculum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previous studies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nalysisresults, reliability between analysts and expert content validity were execut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increased in the2022 revised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curriculu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y subject,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was themost frequent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u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utilization department was the most frequent in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school level, the high school level was the highest in both the 2015and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digital citizenshiparea showed a high proportion of functional areas in both the 2015 and 2022 special educationcurriculum,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subtype showed the highest rational digital communicationability in the functional area. Conclusion: First, special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digital society, be interested in preventing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being alienated from the digital world, and develop theireducational capabilities. Second, in speci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basic research ondigital citizenship by life cycle, such as a study on selecting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from elementary school level to adults. Third, special teachers should design classes so that they can become holistic digital civ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혜,김민경,주소영. (2023).2015와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디지털 시민성관련 성취기준 비교분석. 교원교육, 39 (3), 239-254

MLA

최지혜,김민경,주소영. "2015와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디지털 시민성관련 성취기준 비교분석." 교원교육, 39.3(2023): 239-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