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이용수 143

영문명
Content Analysis of Prospectiv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박혜영 정현희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9권 제3호, 127~1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이 어떠한지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사 및 석사과정에서 교직과목을 이수한 예비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2013)의 질적 내용분석 절차와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18개의 의미 내용과 9개의 범주, 3개의 차원이 확인되었다. 3개의 차원은 ‘개인적 차원’, ‘관계적차원’, ‘행정적 차원’이었다. 개인적 차원은 ‘교육실습에의 다양한 의미부여’, ‘진로 계획 준비’, ‘개인적인식’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관계적 차원에서는 ‘학생 지도에서의 상반된 경험’, ‘교육실습 지도교사에대한 인식’, ‘동료 교육실습생과의 경험’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행정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 제반 사항에대한 바람’, ‘여러 측면의 교육실습 지도내용’, ‘제도적 개선 및 보완에의 인식’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할이 중요하고 학교 상담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실습이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에서 고려해야할 내용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of prospective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forprospectiv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ho had completed teaching courses in the bachelor'sor master's program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Krippendorff's(2013)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s and method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ighteen semantic contents, nine categories, and three dimensionswere identified. The three dimensions were the ‘individual dimension,’ the ‘relational dimension’ and the‘administrative dimension.’ For the individual dimension, the categories of ‘giving various meanings toeducational practice,’ ‘career planning preparation,’ and ‘personal meaning recognition’ were derived,and at the relational dimension, the categories of ‘conflicting experiences of student guidance,’ ‘perceptionof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ors’ and ‘experiences with peer trainee’ were derived. At the administrativedimension, the categories of ‘desire for various matters of educational practice,’ ‘guidance content ofvarious aspects of educational practice,’ and ‘percep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were derived.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ole of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ors is important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specificity of school counseling to educational practice. Based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ducational practice of prospective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영,정현희. (2023).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교원교육, 39 (3), 127-153

MLA

박혜영,정현희.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교원교육, 39.3(2023): 127-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