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초등교사의 영재 교수 효능감과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이용수 42
- 영문명
-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Gifted Education: A Survey Study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우희진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5권 제1호, 58~6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수 효능감과 교사의 영재에 대한 태도는 교사의 영재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차례로 영재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 및 영재 프로그램에 선발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영재를 가르치는 효능감과 태도를 알아보고, 그들의 효능감과 태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며, 대학교 영재수업의 수강 여부가 이들의 효능감과 태도와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481명의 예비 초등교사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는 예비교사들의 영재를 가르치는 효능감과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에 대한 문항들로 이루어 졌다. 설문 결과, 예비 초등교사들은 영재를 가르치는 데에 있어서 약간의 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영재교육에 대해서는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영재교육을 소수를 위한 엘리트주의로 보지 않았다. 또한 예비 초등 교사의 영재를 가르치는 데에 대한 효능감과 영재교육에 대한 지지적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보였다. 또한, 대학에서 영재 수업을 들은 학생들과 듣지 않은 학생들의 교수 효능감과 영재교육에 대한 지지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South Korean pre-service primary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ir attitudes towards gifted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ir attitudes towards gifted students are important because they impact teachers’ perception and performance, which in turn could impact on the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of gifted students and their chance of being identified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Although many studies have emphasized the positive effects of initial teacher training on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students, none of th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hat offer a bachelor’s degree in primary education provides a compulsory course in gifted education, and elective course offerings are limited. In total, 481 fourth-year South Korean primary education majo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s a result of the surve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self-efficacy in teaching gifted students and their supportive attitudes towards gifted students and gifted educ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a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gifted students as well as supportive attitudes towards gifted education between those who teachers who had or had not taken a course in gifted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영재 교수 효능감과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 장내미생물 Gram 염색패턴을 이용한 누에나방 유충 건강 상태 예측 CNN 알고리즘 모델 구축
- 중학생 R&E 지도 사례
- 볼록 사각형의 Siebeck-Marden의 정리에 대한 연구
- 센서와 머신 러닝을 통한 교실 책상 면 조도 예측
-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과학영재가 지각하는 과학 성취 상황별 성취 정서 비교 분석
-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바이러스의 진화와 확산 시뮬레이션 제작
- 학생 만족도를 높이는 시험 시간표 배치 알고리즘
- 식 지도 관점에서 역량중심 초등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및 교과서 분석
- 독도 투어
-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중등 생물영재 대상 SSI 글쓰기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Vanillin과 o-Vanillin의 항진균 활성과 이를 이용한 항진균 벽지 제작
- 잠자리 수채의 사냥 시 아랫입술 움직임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 광학 이성질체 시험 및 합성을 위한 키트 제작
- 음파를 이용한 수박 선별
- ASEAN+3 과학실험 탐구대회에 참가한 중학교 영재 학생의 과학 관련 경험과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삼각형의 내접 타원의 넓이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