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SEAN+3 과학실험 탐구대회에 참가한 중학교 영재 학생의 과학 관련 경험과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이용수 35
- 영문명
- Analysis of Science-related Experiences and Changes in Perceptions of Science of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SEAN+3 Junior Science Odyssey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신채연 이수영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5권 제1호, 12~27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ASEAN+3 과학실험 탐구대회에 참가한 우리나라 대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 6명이 대회 참가를 통해 어떤 과학 관련 경험을 하였으며 과학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심층면담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글로벌 과학실험 탐구대회가 영재 학생들의 과학 관련 긍정 경험 증진과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를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학생들은 대회 참가 전 과학자에 대한 고정적 이미지, 과학은 암기 과목, 이공계진로에 대한 부족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교 과학수업에서 실험의 설계나 실험 수행에 있어 선택권이나 자율권을 경험하지 못한 학생들이었다. 대회 참가를 통해 영재 학생들은 과학자에 관한 이미지 변화, 이공계 진로에 대한 확신과 관심을 보이는 등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를 보였다. 또한 실험 설계와 수행의 즐거움, 실험을통한 지식과 원리의 발견 등 과학 긍정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자아효능감이나 자아존중감과 같은 과학 관련 자아개념의 측면에서의 경험은 다소 부족하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 학생의 과학 관련 긍정 경험과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한 글로벌 과학실험 탐구대회의 모습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six science gifted students in Korea who participated in ASEAN +3 Junior Science Odyssey through an in-dept interview. Through this, we tried to find a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global science experiment and inquiry contest, which can change the perception of science and provide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for gifted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before participating ASEAN+3 Junior Science Odyssey, gifted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international exchange or science-related competitions, had a typical image of scientists, and had no experience conducting experiments autonomously at school. Through the experimental activities held in JSO, they realized the joy of the experiment to reveal knowledge and principles, and show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about science, such as changing image of scientists and showing confidence and interest in their care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experience in terms of science-related self-concepts, such a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as somewhat insufficie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appearance of the global science experiment and inquiry contest to change gifted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related to science and their perception of scienc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영재 교수 효능감과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 장내미생물 Gram 염색패턴을 이용한 누에나방 유충 건강 상태 예측 CNN 알고리즘 모델 구축
- 중학생 R&E 지도 사례
- 볼록 사각형의 Siebeck-Marden의 정리에 대한 연구
- 센서와 머신 러닝을 통한 교실 책상 면 조도 예측
-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과학영재가 지각하는 과학 성취 상황별 성취 정서 비교 분석
-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바이러스의 진화와 확산 시뮬레이션 제작
- 학생 만족도를 높이는 시험 시간표 배치 알고리즘
- 식 지도 관점에서 역량중심 초등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및 교과서 분석
- 독도 투어
-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중등 생물영재 대상 SSI 글쓰기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Vanillin과 o-Vanillin의 항진균 활성과 이를 이용한 항진균 벽지 제작
- 잠자리 수채의 사냥 시 아랫입술 움직임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 광학 이성질체 시험 및 합성을 위한 키트 제작
- 음파를 이용한 수박 선별
- ASEAN+3 과학실험 탐구대회에 참가한 중학교 영재 학생의 과학 관련 경험과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삼각형의 내접 타원의 넓이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