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과 교육과정에 비추어 본 탱그램과 유사탱그램의 재조명
이용수 2
- 영문명
- Revisiting Tangram and Similar Tangrams based on Mathematics Curriculum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송상헌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8권 3호, 391~40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탱그램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칠교판(도형판)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도 학교수학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활동의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현행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탱그램을 언급하고 있기는 하지만 교과서의 활용에서 탱그램의 유용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상의 다른 내용과 제대로 연결을 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제시하고 있는 탱그램 사용이 교육과정과의 관련에서 갖는 문제점과 한계를 분석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제대로 그리기, 모양이 아닌 다각형 만들기, 수학적사고와 관련하여 현 교육과정의 수준에 적합한 활동 분석, 교육과정의 한계를 넘나들며 활용할 수 있는 수준별 도형 탐구의 예시 등)과 유사탱그램까지 좀 더 확장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are some studies on tangram a kind of jigsaw(silhouette or dissection) puzzle. And Korean national curriculums mention about tangram. But the past studies and the textbooks are not so related to curriculums. So this study is focused on som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angram activities related to curriculum. This study gives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using tangram: (1) alternate drawing of tangram (2) making mathematical figures instead of shapes (3) proper activities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polygons and angles) and mathematical thinking (4) examples of exploring mathematical figures and angles coming in and out of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o, this study suggests some mathematical activities of using similar tangrams (especially sphinx puzzl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과서에 나타나는 탱그램활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
Ⅲ. 교육과정에서 탱그램의 추가 활용 가능성
Ⅳ. 교과서에 나타난 유사탱그램 활용의 예시 분석과 제안
Ⅴ. 덧붙이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