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과 서술형 평가의 문항개발 사례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criptive Problems in Grade 4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홍지연 김민경 노선숙 권점례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8권 3호, 335~35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관한 문항개발 사례 연구로서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문항과 평가기준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가문항과 평가기준의 개발절차를 마련하고 초등학교 4-나 단계의 각 단원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서술형 평가 문항과 그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문항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서술형 평가 문항과 평가기준을 초등학교 4학년 학급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descriptive evaluation method that focuses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student. The goal was to evalu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rather than the students' ability to find the final answer. The descriptive evaluation is being suggested as a way of examining the thought process of the student by performing a structured analysi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oday, there are not enough descriptive evaluation resources available for teachers to effectively carry out this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for descriptive evaluation in grade 4 mathematics. We designed the development process for descriptive evaluation and its rubric for all 8 units of the 4-Na level of mathematic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ree descriptive problem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 8 units for a total of 24 problems. The rubric consisted of three areas of assessment, 1)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2) problem solving, and 3)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 problems were first pilot tested in two 4th grade classes. Modified problems were then tested in a different 4th grade classroom. The study showed that the three defined areas of evaluation framework (problem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were measur- able and analyzable using the developed grading rubric. We then conclude that the descriptive evaluation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improving teacher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