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제 해결과 메타인지가 학생들이 만드는 문제 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 영문명
-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and MetaCognition on the Problem Type Created by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화 김수민 김선희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0권 제2호, 337~3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 문제 해결과 메타인지가 문제 만들기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생활 문제와 수학적 상황 문제를 해결하게 하고, 제시된 문제의 해결 전ㆍ후에 메타인지적 질문에 답하도록 하며, 제시된 문제와 해결 방법이 유사한 새로운 문제를 만들게 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 해결 수준에 따른 문제 만들기 유형의 특징은 나타나지 않았다. 주어진 문제의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학생들은 익숙하지 않은 실생활 문제일지라도 주어진 문제의 구조가 명확하여 문제를 잘 이해한 경우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만들 수 있었다. 문제 해결 전후 메타인지 질문을 통해 학생들은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건들을 생각하게 되었고 메타인지 지식이 높은 학생들이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유사문제를 더 많이 만들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h problem-solving and metacognition on the problem-posing type of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solve real-life problems and mathematical problems, and also to answer metacognitive questions before/after solving the suggested problems. And they were asked to create new problems with the solving method similar to the suggested problems.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no such characteristics of problem-posing type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solving level.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given problems,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problem-posing. In case that students fully understood problems as the structure of the given problems was clear even though they were real-life problems unfamiliar with students, they were able to create diverse types of problems. Finally, through the metacognitive questions before/after problem-solving, students could think of conditions for solving the suggested problems. Such students with the high level of metacognitive knowledge created more similar problems in the problem-posing activit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