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혼 시 재산분할청구권의 행사상 일신전속성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Exclusive Nature of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Claim Division of Property in the event of Divorce: Supreme Court Decision 2022Seu613 delivered on 28th July, 2022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정구태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30권 제1호, 115~1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행사상 일신전속권이란 권리를 행사할지 말지가 그 시점에서 권리자의 의사에만 맡겨져 있는 권리로서 권리자의 의사에 반해 그 행사를 강제할 수 없는 권리를 말한다. 행사상 일신전속권은 그 행사가 채무자 개인의 자유의사에 맡겨져 있으므로 설령 권리자를 위한 재산관리가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권리자의 의사에 반하여 권리자 이외의 자가 이를 대신 행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대상결정은 “이혼으로 인한 재산분할청구권은 그 행사 여부가 청구인의 인격적 이익을 위하여 그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에 전적으로 맡겨진 권리로서 행사상의 일신전속성을 가지므로, 채권자대위권의 목적이 될 수 없고 파산재단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는바, 이혼 시 재산분할청구권의 행사상 일신전속성을 명시적으로 긍정한 최초의대법원 결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상결정은 그 근거로서 ① “이혼을 한 경우 당사자는 배우자, 자녀 등과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산분할청구권 행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는 점, ② “법원은 정신적 손해(위자료)를 배상하기 위한 급부로서의 성질 등도 고려하여 재산을 분할하게 된다.”는 점, ③ “재산분할청구권은 협의 또는 심판에 의하여 구체적 내용이 형성되기까지는 그 범위 및 내용이 불명확ㆍ불확정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권리가 발생하였다고 할 수 없어 채무자의 책임재산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 ④ “채권자의입장에서는 채무자의 재산분할청구권 불행사가 그의 기대를 저버리는 측면이 있다고하더라도 채무자의 재산을 현재의 상태보다 악화시키지 않는다.”는 점을 들고 있다.
필자는 대상결정의 결론에 찬동하고, 대상결정의 ①, ④ 논거도 타당하다고 생각하지만, 대상결정의 ②, ③ 논거는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Exclusive right in exercise refers to a right in which whether or not to exercise the right is left only to the right holder's will at that time, and the exercise cannot be enforced against the right holder's will. Since the exercise of the exclusive right to one person is left to the free will of the individual debtor, even if the purpose is to manage property for the obligee, it is not permitted for a person other than the obligee to exercise it against the will of the obligee.
The object decision is that “the right to claim property division due to divorce is a right entirely entrusted to the claimant’s free decision-making for the personal benefit of the claimant, and has exclusive properties in the event of exercise, so it cannot be the object of the creditor’s right of subrogation and is not subject to the bankruptcy estat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upreme Court decision to explicitly affirm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claim property division in case of divorce.
The object decision is based on ① “In case of divorce, the party decides whether to exercise the right to claim division of property i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children, etc.”, ② “The court divides the property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compensation for mental damage.”, ③ “The right to claim division of property cannot be determined by consultation or judgment.”, ④ “From the creditor's point of view, the debtor's right to claim the division of property does not deteriorate the debtor's property than the current state, even if there is an aspect that violates his expectations”.
I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the object determination, and think that the grounds ① and ④ of the object decision are valid, but I do not think the grounds ② and ③ of the object decision are valid.
목차
Ⅰ. 序言
Ⅱ. 대상결정에 대한 검토
Ⅲ.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파산법상 개별변제 부인권의 성립요건
- 북한 핵 사용의 공세적 법제화를 통해 본 대(對)미 접근
-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된 금융소비자보호법의 개선방안
- 근로기준법상 이른바 임금체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양육비이행관리원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법이 규율하는 사회 개념의 변화
- 부작위 사기죄와 관련한 형법 도그마틱
- 상속분가액지급청구의 범위
- ‘관련’(relevant) 국제표준의 관련성에 대한 소고
- 집단소송 확대 도입방안에 관한 법적 검토
- 혁신조달제도에 관한 논의
- 인공지능의 권리능력 인정여부에 관한 소고
- 이혼 시 재산분할청구권의 행사상 일신전속성
- 협력적 위협감소(CTR) 프로그램의 국제법적 쟁점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가상자산(암호화폐 등)의 법적 성질과 민사집행
- 부당한 장래적 판례변경 - 대법원 2024. 12. 19. 선고 2020다247190, 2023다302838 전원합의체 판결
- 소송법상 특별대리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