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에서 고농도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의 효과
이용수 12
- 영문명
- Effect of Steroid Pulse Therapy on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유정서 나상훈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4, 336~34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에서 고농도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서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을 진단받은 후 고농도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시행받은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methylprednisolone을 1,000 mg/day로 3일간 주사받았으며 치료 전, 치료 직후, 치료 후 1달, 6달, 12달째의 검사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력검사와 시야검사(Humphrey Field Analyzer,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가 진행되었으며 시야검사 결과의 지표로 visual field index (VFI), mean deviation (MD)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 68.7세의 13명(남자 6명, 여자 7명)의 26안을 분석하였다. 치료 직후 시력에서는 유의한 호전이 없었으나, 11안에서10% 이상의 VFI값의 호전이 있었고, 16안에서 2 dB 이상 MD값의 호전이 있었다. 치료 종결 이후 26안 중 13안에서 snellen 표 2줄이상의 시력 호전이 있었으며 16안에서 10% 이상의 VFI값의 호전이 있었고 20안에서 2 dB 이상 MD값의 호전이 있었다. 최종 VFI값차이 평균은 25.96 (standard deviation [SD]=29.33), 최종 MD값 차이 평균은 7.29 (SD=7.09)로 나타났다.
결론: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 환자에서 고농도 스테로이드 주사를 병행 치료하였을 때 60% (16/26)에서 치료 직후 빠른 시야호전을 보였고, 치료 종결 후 77% (20/26)에서 최종적인 호전을 보였다. 이를 통해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 환자에서 스테로이드의치료 효과에 대한 가능성과 향후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dose steroid injections for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examined 13 patients diagnosed with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 at Wonju Severance Christian Hospital from December 2016 to November 2020. Methylprednisolone was injected at 1,000 mg/day for 3 days. The patients were evaluated before treatment; immediately after it; and at 1, 6, and 12 months. Visual acuity and visual fields were tested (Humphrey Field Analyzer,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 and the visual field index (VFI) and mean deviation (MD) were recorded.
Results: We analyzed 26 eyes of 13 patients (6 males, 7 females; average age 68.7 years). Immediately after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visual acuity, but the VFI improved by 10% or more in 11 eyes and MD improved by 2 dB or more in 16 eyes. After the end of treatment, 13 of 26 eyes showed improved visual acuity of two lines or more in the Snellen table; VFI improved by more than 10% in 16 eyes and MD by 2 dB or more in 20 eyes. The average differences in the final VFI and MD were 25.96 (standard deviation [SD] = 29.33) and 7.29 (SD = 7.09), respectively.
Conclusions: When patients with ethambutol-induced optic neuropathy were treated with high-dose steroid injections, 60% (16/26) showed visual field improvement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nd 77% (20/26) ultimately showed improvement. This suggests that steroids have a therapeutic effect in patients with optic neuropathy caused by ethambut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라니비주맙과 애플리버셉트에 모두 반응이 제한적인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의 경과
- 국립장기이식센터 연보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각막이식의 최신 경향
- 한국인 거짓비늘증후군 환자에서 전신 질환 및 안과 질환과의 연관성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기와 저간섭성 반사계, 초음파,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안구계측 비교
- 눈꺼풀에 발생한 원발 결핵 1예
- 콘텍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 1예
- 시신경유두함몰비가 큰 미숙아의 선천 녹내장 발생 위험
- 분지망막동맥폐쇄의 장기 임상 경과와 예후인자
- 성인에서 시행된 선천 상사근마비의 수술 결과
- 큰 황반원공 환자에서 시행한 과불화탄소액을 이용한 상부 내경계막 피판덮개술의 임상 결과
- 열공성 망막박리의 유리체절제술 후 장기간 엎드린 자세 후 발생한 심부정맥혈전증 1예
-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에서 고농도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의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