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지망막동맥폐쇄의 장기 임상 경과와 예후인자
이용수 0
- 영문명
- Long-term Clinical Course and Prognostic Factor of Branch Retinal Artery Occlus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신다은 김예지 김철구 김종우 김재휘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4, 296~30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분지망막동맥폐쇄의 장기 임상 경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분지망막동맥폐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진단 당시의 시력과 중심망막두께를최종 추적 관찰 시의 값과 서로 비교하였다. 최종 추적 관찰 시의 decimal 시력이 0.6 이상인 환자(좋은 예후군)와 0.5 이하인 환자(나쁜 예후군) 사이에 인자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55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5.8 ± 27.8개월이었다. 평균 logarithm of minimum angle of resolution 시력은 진단 시 0.53 ± 0.57에서 최종 추적 관찰 시 0.36 ± 0.61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26). 진단 시 decimal 시력 0.1 이하는13명(23.6%), 0.2 이상 0.5 이하는 16명(29.1%), 0.6 이상은 26명(47.3%)이었고, 최종 추적 관찰 시 각각 9명(16.4%), 8명(14.5%), 38명(69.1%)이었다. 중심망막두께는 진단 시 평균 273.9 ± 34.7 μm에서 최종 추적 관찰 시 248.9 ± 27.0 μm로 감소하였다(p<0.001). 나쁜 예후군(n=17)은 좋은 예후군(n=38)에 비해 환자의 나이가 더 많았으며(p=0.044) 진단 시 시신경유두황반다발이 침범된 빈도가더 높았다(p<0.001).
결론: 분지망막정맥폐쇄 환자들은 비교적 좋은 장기 결과를 보였으나 16.4%에서는 최종 시력 0.1 이하의 좋지 않은 예후가 나타났다. 예후가 나쁠 가능성이 높은 환자들에서 예후 호전을 위한 추가적인 치료 방침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linical course and prognostic factors of branch retinal artery occlusion (BRAO).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diagnosed with BRAO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Visual acuity (VA) and central retinal thickness (CRT) at diagnosis were compared with those measured at the final visit. Patients with a decimal VA ≥ 0.6 (good prognosis group) were compared with those with a decimal VA ≤ 0.5 (poor prognosis group) at the final visit.
Results: Fifty-five patients were enroll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5.8 ± 27.8 months. The mean logarithm of minimum angle of resolution improved from 0.53 ± 0.57 at diagnosis to 0.36 ± 0.61 at the final visit (p = 0.026). The decimal VA was ≤ 0.1 in 13 (23.6%) patients, ≥ 0.2 and ≤ 0.5 in 16 (29.1%) patients, and ≥ 0.6 in 26 (47.3%) patients at diagnosis; the respective values were 9 (16.4%), 8 (14.5%), and 38 (69.1%) at the final visit. The mean CR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73.9 ± 34.7 μm at diagnosis to 248.9 ± 27.0 μm at the final visit (p < 0.001). The poor prognosis group (n = 17) was older (p = 0.044) and had a higher incidence of papillomacular bundle involvement (p < 0.001) than the good prognosis group (n = 38).
Conclusions: Patients with BRAO generally showed relatively favorable long-term outcomes. However, the final VA was ≤ 0.1 in 16.4% of them,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treatment modalities to improve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a poor prognosi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라니비주맙과 애플리버셉트에 모두 반응이 제한적인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의 경과
- 국립장기이식센터 연보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각막이식의 최신 경향
- 한국인 거짓비늘증후군 환자에서 전신 질환 및 안과 질환과의 연관성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기와 저간섭성 반사계, 초음파,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안구계측 비교
- 눈꺼풀에 발생한 원발 결핵 1예
- 콘텍트렌즈로 인한 급성충혈증후군 1예
- 시신경유두함몰비가 큰 미숙아의 선천 녹내장 발생 위험
- 분지망막동맥폐쇄의 장기 임상 경과와 예후인자
- 성인에서 시행된 선천 상사근마비의 수술 결과
- 큰 황반원공 환자에서 시행한 과불화탄소액을 이용한 상부 내경계막 피판덮개술의 임상 결과
- 열공성 망막박리의 유리체절제술 후 장기간 엎드린 자세 후 발생한 심부정맥혈전증 1예
-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에서 고농도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의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