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존 케이지 음악에 있어서 주역(周易)
이용수 23
- 영문명
- I-Ching in John Cage's Music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김경순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12권 제2호, 185~22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5.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better understanding of John Cage, we have tried to approach his music with the alternative perspective, away form the conventional western way. We found that there were three philosophical sources which constituted the basis of his music. At first, Cage got inspired from the Indian philosophy and Buddhism that “Art is the imitation of nature in her manner of operation”. And then from the Zen practice, he came to realize that the music should be freed from the personal intentions and memories of the composer so that it's proper sounds be produced within the “totality of possibilities”. At last he discovered that the I-Ching was the perfect instrument for making the music which he idealized in its divine nature. He perfectly comprehended the principles of the chance operation of I-Ching and applied them to the composition of music; that is, starting from the elements of Yin and Yang representing sounds and silence, to the sophisticated manifestation of hexagram in the form of structural sound events.
목차
서론
Ⅰ. 케이지의 동양적 지혜
Ⅱ.《주역음악》이전
Ⅲ.《주역음악》
Ⅳ.《주역음악》이후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양음악학 제12권 제2호 목차
- [학술대회 보고] 한국서양음악학회 제48차 학술포럼 보고문
- [서평] Philosophers on Music: Experience, Meaning, and Work (Edited by Kathleen Stock)
- 헨델과 그라운의 《체자레》
- 17-18세기 프랑스 이론서 원전연구
- 모차르트의 오페라 부파《피가로의 결혼》에 나타난 희극성
- 파이지엘로(Giovanni Paisiello), 솔러(Vicente Martin y Soler), 치마로사(Domenico Cimarosa) 그리고 모차르트의 오페라 부파 들여다보기
- 북독일의‘전고전주의’
- 20세기 음악사에서의 ‘다름슈타트 국제 하계 현대음악강좌’
- 19세기 확장된 반음계주의 음악의 분석모형
- 국악의 중려-임종 음정의 범주적 지각 특성
- 존 케이지 음악에 있어서 주역(周易)
- [학술대회 보고] 2008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서양음악이론학회 공동주최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