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70, 80년대 중국 시의 狂氣와 省察
이용수 25
-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김소현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34집, 549~5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七八十年代的中国,处于文化大革命与改革开放这两种截然不同的政策的转换期,为了在全社会范围内打破旧有的秩序,确立新的发展方向,做出了多方探索,付出了诸多努力。七十年代,文革的高潮已经过去,整个社会虽然呈现出调整的态势,但仍然处于革命的强势支配下,而进入八十年代,向着后文革时期的转变,开始有了具体的内容与步骤。 在这一时代背景下,诗人们开始回顾中华人民共和国成立以来施加于文学的种种条条框框,并且竭力试图摆脱由此派生出来的文学桎梏,七八十年代的中国诗歌就是他们努力的结晶。七十年代诗歌完全笼罩于文革的阴影之下,直到八十年代市场经济正式启动,文革的阴影才渐渐淡去。但是要想在生活中,在心理上彻底治愈文革后遗症 ,还需要花费更长的时间。七八十年代的中国诗歌固然背负着“为工农兵服务”的使命,但是毋庸置疑,自1949年之后一直被视为禁忌的“自我”,“抒情”,批判现实主义精神已经显示出复苏的趋势,而作为世界文学的一分子,其所应当具有的普遍性也开始生成。 本文立足与文革的内在关联性这一角度,旨在探讨褪尽文革狂气的七十年代知青诗歌意义何在,改革开放后的八十年代诗歌做出了何种探索,面临何种问题。而重中之重即是对知青诗歌的研究。此前,作为连接红卫兵文学与朦胧诗至关重要的一环, 知青诗歌在文学史料中并未能得到充分的反映,研究知青诗歌,将为我们剖析朦胧诗的意义与局限性,揭示新生代诗歌诞生的必然性提供重要的前提条件。
영문 초록
목차
Ⅰ. 狂氣와 終末
Ⅱ. 狂氣와 眞理
Ⅲ. 省察과 懷疑
Ⅳ. 狂氣에 관한 省察
Ⅴ. 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金甁梅》小說構成에 관한 張竹坡의 評點 연구
- ≪郭店楚墓竹簡≫≪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의 가치연구방법과 국내연구현황
- 中國 上古時期와 高句麗의 語音 비교(1)
- 盛唐氣象과 北方文化의 관계
- 현대 중국어 상(相) 표지의 부정
- 漢語 色彩詞 硏究
- 중국어 광고의 언어학적 특징과 기능
- 唐나라 士人의 현실공간과 환상공간
- 述目式 「離合」構造의 現代漢語 語法上의 地位에 관한 硏究
- 5․4 新文化運動期에 있어서 胡適의 白話文學史觀에 관한 檢討
- 論敦煌故事賦文本的演行可能性: 以空間的場面化與矛盾解決方式爲例
- ≪詩經≫에서의 물의 比喩的 意味 考察
- 晩淸 政治小說 考察
- 梁祝故事 硏究
- 李白诗中的妇女形象
- 존재, 관계, 기호의 해석학
- ≪牡丹亭≫에 나타난 巫俗的 特性
- 육기 문학에 대한 역대의 평가문제
- 198、90년대 중국 리얼리즘 소설 연구
- 李漁의 科諢이론과 〈風箏誤〉
- 중국어와 영어의 대조 연구
- 關於中文的主干精神淺議
- 화교사회의 형성과 특성 연구
- ≪越南亡國史≫와 국내 번역본 비교 연구
- 1920, 30년대 상하이 유행문화의 형성 모티브
- ‘女’계열 同源字 고찰
- 1970, 80년대 중국 시의 狂氣와 省察
- 鲁迅과 社团、新聞社와의 관계 고찰
- ≪三體詩≫ 연구
- 周家祿 「朝鮮樂府」의 조선 인식
- 古漢語中的代詞“焉”
- 홍콩 반환과 왕자웨이(王家衛)의 ≪중경삼림(重慶森林)≫
- 교양 중국어 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现代汉语新词研究
- 이건승의 망명 한시에 나타난 상황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