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어촌 한 소규모학교의 마을교육과정 운영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60

영문명
Autothnography on The experience of running a Village Curriculum in a Small School in a Rural Village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황미진 황유진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9권 제1호, 315~34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한 소규모학교에서 마을교육과정을 운영한 초등교사의 교육적 경험을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사와 학생 그리고 지역을 연결하는 실천과정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이 없는 교실에서 과연 배움이 있는가에 대한 고민은 아이들의 존재와 삶을 돕고 보살피는 일부터 시작해야 배움의 진정한 의미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둘째, 고민의 해답은 농어촌 작은학교로 전입, 그 곳에서 교과서를 벗어나 아이들의 호기심이 있는 수업을 통해 오랫동안 꿈꾸던 교실 수업을 경험하게 되었다. 셋째, 마을 나들이를 통해 친구와 눈맞춤을 시작한 샛별이의 관심사가 주변으로 확대되어 공감 능력뿐 아니라 관계 맺는 법을 배운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마을 나들이를 통해 교육적 경험에 확신이 든 연구자는 배울 힘이 있는 아이들과 3월 초부터 마을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추석을 주제로 교직원과 학부모, 마을 어르신과 함께 수업으로 진행한 교육적 경험은 마을공동체 연대를 통한 문화 기반을 만드는 중요한 실천이었다. 넷째, 어린 시절 살던 마을을 찾아간 연구자는 장소를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를 보게 되면서 아픈 과거와 마주하며 자신을 위로하는 과정을 통해 회복을 경험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마을을 통해 배움을 열어가는 교사의 새로운 교육과정 운영경험이 장소기반 학습의 장으로써 마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또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of running a small-scale village curriculum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using the autoethnography method. in the search for meaning and value. The research results ar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irst, is there really learning in a classroom without questions? The contemplation of “Future”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true meaning of learning should begin with helping and caring for the existence and life of children. Second, the answer to their concerns was transferred to a small school in a farming and fishing village, where they got out of textbooks and experienced classroom lessons that they had long dreamed of through classes with children’s curiosity. Third, it was found that Saetbyeol, who started making eye contact with friends through village outings, expanded her interests to the surroundings and learned not only empathy but also how to build relationships. The researcher, who was convinced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village outing, ran a village curriculum with children who had the power to learn from early March,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conducted as a class with the teaching staff, parents, and village elders on the theme of Chuseok was a solidarity with the village community. It was an important practice to create a cultural foundation through. Fourth, the researcher who visited the village he lived in as a child saw who he was through the place and experienced recovery through the process of comforting himself while facing his painful pas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미진,황유진. (2023).농어촌 한 소규모학교의 마을교육과정 운영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9 (1), 315-341

MLA

황미진,황유진. "농어촌 한 소규모학교의 마을교육과정 운영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9.1(2023): 315-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