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thno-method로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이해

이용수 97

영문명
Understanding Learning Experience as Ethno-method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송슬기 손민호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9권 제1호, 127~15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최근 교육과정의 관심사 중 하나인 ‘빅 아이디어’ 또는 ‘영속적 이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에쓰노메쏘돌로지(Ethnomethodology, 이하 EM)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소위 ‘빅 아이디어 또는 영속적 이해’를 사실적 지식을 모두 잊어버려도 남아있는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일반화된 상태라고 한다면, 학습의 맥락에서든 일상의 활동과 경험의 맥락에서든 그것이 실제 맥락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EM의 핵심 관심사는 실제 맥락 안에서 일반인이든 전문가든, 신참이든 고참이든, 신체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이든 개념적/추상적 지식노동에 종사하는 사람이든, 개념적 지식을 배워가는 학생이든 그것을 가르치는 교사든 공히 그들이 일상적으로 수행해낼 수 있는 역량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EM에 관한 이러한 이해는 교육연구에서 생소한 것이 아니다. EM 연구는 7-80년대를 거치면서 소위 상황인지 및 상황학습 연구를 통해 교육 연구에서 사회구성주의 학습에 관한 관심을 촉발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기존 학습이론의 규범과학 패러다임을 벗어나 학습과학(learning science)이라는 ‘실증’ 과학을 태동시키는 데 일조했다. 이는 개인의 앎과 배움에 삶과 공동체의 그림자가 어떻게 드리워져 있는지에 관한 탐구이기도 하고, 지식의 구조(structure)에 대한 추론이 아닌 사고와 행위의 구조화(structuration) 과정으로서의 탐구, 그리고 정보처리로서의 사고가 아닌 바깥세상과의 상호작용으로서의 사고에 대한 면밀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본격화하고자 한 시도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들의 지향점은 결국 학습자 맥락과 역량에 대한 이해 그리고 그 환경적 조건의 디자인에 관한 이해를 제고해 나가는 데 있다. 본 연구는 EM의 질적 탐구의 논리와 전략이 어떻게 진일보된 학습경험 연구로 이어질 수 있었는지를 되짚어 보고, 학습경험 연구에서의 EM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how “big idea” or “permanent understanding” works, one of the recent interests of the curriculum, through Ethnomethology (EM). If the so-called big idea or permanent understanding is the most general and comprehensive level of generalization that remains even if all factual knowledge is forgotten, we tried to see how it works in practices, whether in the context of learning or daily activities and experiences. EM’s core concern is to understand how everyday actions and practical reasoning work, whether they are ordinary people, professionals, newcomers, seniors, people in physical labor, people in conceptual/abstract knowledge labor, students learning conceptual knowledge or teachers. EM is not unfamiliar in educational research. EM’s research direction has already triggered situational cognitive and social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ies and research in 1980s. Since the 2000s, it has inspired an empirical study called “Learning Science”, which is away from the normative science of existing learning theory. This is an explanation of how learning experience research through systematic study of thinking as an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not as an inference about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goal of these studies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context and the understanding of competency and designing the conditions to improve that learning. This study saw that EM had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 and tri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EM in learning experience research.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에이전트 맥락과 일상적 실천
Ⅲ. 지식의 구조와 실천의 구조
Ⅳ. 학습경험에서의 일상적/상식적 추론의 역할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슬기,손민호. (2023).Ethno-method로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이해. 질적탐구, 9 (1), 127-151

MLA

송슬기,손민호. "Ethno-method로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이해." 질적탐구, 9.1(2023): 127-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