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春’, ‘秋’ 의미 분석을 통한 고대 계절 개념 고찰

이용수 12

영문명
Meaning Analysis of ‘春’ and ‘秋’ as a Study on Ancient Classification of Seasons: Based on Prototype Theory of Categorization
발행기관
중국인문학회
저자명
이하영
간행물 정보
『중국인문과학 』제80집, 33~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甲骨文은 한자의 원형으로 사물의 모습과 현상을 그림으로 나타낸 글자이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수많은 한자 중에는 甲骨卜辭에 존재하는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계절을 나타내는 한자 ‘春’, ‘夏’, ‘秋’, ‘冬’ 중에 갑골복사에 출현하는 것은 ‘春’과 ‘秋’ 뿐이다. 이는 당시 한 해를 ‘春’과 ‘秋’ 두 시기로 구분했음을 의미한다. 수많은 개념들은 그 속성에 따라 하나의 개념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속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지속적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의 무리를 생성하는 과정이 바로 범주화이다. 하나의 범주에 속한 개념들은 서로 중요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범주 간에는 현저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고대 중국인들이 과연 무엇을 기준으로 한 해를 ‘春’과 ‘秋’ 두 범주로 간주한 것이며, 범주에 속한 시기들 간에는 서로 어떤 유사한 속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紀月의 수단인 十二地支의 풀이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春’과 ‘秋’의 의미 변화 분석과 두 범주에 속한 시기들의 속성 분석을 통해 고대 중국인이 생각한 계절의 범주를 분류하는 과정은 문자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넘어서 그들이 사유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간의 사고가 언어에 투영되는 과정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Gapgolmun (甲骨文) is the prototype of Chinese characters, pictograms of objects or phenomena. Chinese characters have continuously evolved and expanded from the gapgolmun. Some of the many Chinese characters in use today can be found in gapgolboksa (oracle-bones), while others do not. Of the Chinese characters representing seasons, 春 (Spring), 夏 (Summer), 秋 (Autumn), 冬 (Winter), only 春 and 秋 appear in gapgolboksa, signifying that a year was divided into two, 春 and 秋 in the ancient period. Numerous concepts can be grouped into single concept groups by their traits. The process of developing concept groups by continuously classify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raits is called categorization. Concepts belonging to a single category share significant similarities, and there exist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categories. This study examines what classification ancient Chinese used to think of a year in terms of two categories of 春 and 秋. Then, the study analyzes what significant similarities the periods belonging to each category share, using Sipyijiji (十二地支), a method of Giwol (紀月, time recording). When examining changes in the meaning of 春 and 秋 and analyzing the traits shared by the periods within each category to parse out the ancient Chinese thought process for categorizing seasons, it goes beyond ruminating the meaning of letters to understand the way of think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serves a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human thought process and language and how human cognitive process is projected onto their language.

목차

Ⅰ. 서론
Ⅱ. 商代人의 계절에 대한 인식
Ⅲ. ‘春’과 ‘秋’의 의미 변화
Ⅳ. 원형이론을 통한 계절의 범주 고찰
Ⅴ.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하영. (2022).‘春’, ‘秋’ 의미 분석을 통한 고대 계절 개념 고찰. 중국인문과학 , (), 33-53

MLA

이하영. "‘春’, ‘秋’ 의미 분석을 통한 고대 계절 개념 고찰." 중국인문과학 , (2022): 3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