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BeginnerChinese Education Methods Using the Drama「San shieryi」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강창구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79집, 147~17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대학 초급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국 드라마를 활용한 중국어 수업 방안을 살펴보았다. 2021년도 제1학기에 드라마「三十而已」(겨우 서른)를 선정하여 수업을 했으며, 이 작품은 43부작으로 되어 있는데, 중국어는 1주에 2시간 수업으로 2주에 1개과를 마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작품 43부작 중에서 6편을 편집했으며, 3분에서 4분이내로 시청할 수 있게 구성해서 중국어 교재의 보충자료로 사용했다. 수업모형은 ‘제4화’ 한 편을 실례로 들어 수업활동의 순서에 따라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드라마를 활용한 중국어 교육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대체로 기존의 전통적인 중국어 수업(3.57) 보다는 기존 교육방식에 드라마를 병행하여 수업한 방식(4.29)이 교육적 효과가 매우 높게 나왔다. 이어서 2020년도 제2학기와 2021년도 제1학기에 모두 중국어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도 제2학기 성적과 2021년도 제1학기 성적을 비교 분석해보니, 2021년도 제1학기 성적이 3,1점 상승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 중국어 교육보다는 드라마를 활용한 교육이 더 효과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BeginnerChinese education methods using dramas were studied for university beginner Chinese learner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I selected the drama “Sanshieryi” and conducted a class. In Chinese, I can learn one subject every two weeks, so I edited the scenes in this work into 6 episodes and cut it down to 3 to 4 minutes. It was structured so that it could be viewed and used as a supplementary material for Chinese textbooks. The class model was listed in the order of class activities, taking one part of 'Episode 4' as an example. Finally, the effect of Chinese education using drama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educational effect was found to be very high in the method of teaching the drama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education method (4.39) rather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Chinese class (3.67). Then, for students who took Chinese courses in both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nd the first semester of 2021, the results of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nd the results of the first semester of 2021 were compared and analyzed. points were observed to ri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ducation using drama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Chines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드라마와 중국어 교육
Ⅲ. 중국어 교육 방안
Ⅳ. 드라마 활용 중국어 교육의 효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說苑』에 나타난 소설적 요소 연구
- 明·淸시기 4종 古詩總·選集에 나타난 晉代 詩歌의 選錄 현황과 분석
- “茶”的别称研究
- 중국인문과학 제79집 목차
- 19세기 동아시아 중화질서의 변동과 한‧중 상호인식의 기억과 변용
- 唐代 餠茶와 宋代 團茶 음다법 비교 고찰(Ⅰ)
- 『淸華大學藏戰國竹簡(柒)·趙簡子』注解
- 한중 냉각형용사의 의미 확장 대조 연구
- 우리나라에서의 漢代 紀信에 대한 문화적 수용 양상 연구
- 드라마「三十而已」를 활용한 초급중국어 교육 방안 고찰
- 從敘事治療探討小說中的創傷書寫
- 《說文解字》에서 본 고대 중국건축의 구성요소
- Robert Morrison이 편찬한 『五車韻府』의 音系
- 韩国中级水平汉语学习者汉字书写偏误与其汉字习得
- 시진핑 시대, ‘항미원조’ 전쟁의 귀환과 문화 내셔널리즘
- 노자를 보는 새로운 시각
- 희곡에서 영화로 확장된 ‘木蘭’ 고사 연구
- 董仲舒 『春秋繁露』의 陰陽五行思想 硏究
- 『廣金石韻府』에 대한 고찰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受動者가 述語 앞에 쓰이는 문장 고찰
- 『韓非子』「內儲說上·七術」의 서사 구조 분석을 통한 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