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伍子胥列傳>의 역행적 서사구조를 통해서 본 怨恨의 重意的層位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심은경 김원중 김연지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74집, 165~1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如上所述,本文通过司马迁的≪史记≫ <伍子胥列传>中看到的各种对立结构,考察了伍子胥的怨恨心态的变化。对此进行分析,使用了互见法来比较<越王勾践世家>、<楚世家>和<吴太伯世家>等作品中对伍子胥的叙述方式与<伍子胥列传>。通过可以看出伍子胥的怨恨心态的逆向叙事,我们发现了关于复仇的双重意的下列特征。 第一,在<伍子胥列传>中,司马迁将伍子胥写得立体,以戏剧性地展开怨恨和报仇的心理状况,从而创造了一种逆向的叙事结构,高潮迭起,妙趣横生。这一点在人物白公勝中也有体现,司马迁专注于告知主人公伍子胥的愤懑,同时对他相似的人物进行了对立的安排,从而形成了相同的叙事结构。主要目的在于叙述有怨恨的人的生平,并考虑到同理心的扩展和客观距离。这种叙述方式缩略在‘怨毒之人甚矣哉’一节中。 第二,司马迁将‘费无忌和太子建’、‘费无忌和司马奋扬’、‘伍子胥和申包胥’、‘伍尙和伍子胥’、‘昭王和吴兵’、‘昭王和郧公’、‘郧公和弟弟怀’等不同人物安排在对立和矛盾的场合,既表现了相互间的友好关系,又表现了复合式的叙事结构。在对话体叙述方式中,使用多种复线、比喻和引用等司马迁特有的文艺手法,揭示了人物之间的关系,从而能够集中于个人恩怨,也可以观察各种情况。除伍子胥外,还表现出各种角色,这也是司马迁自己要克服仇恨心理的过程。 第三,司马迁在谈到怨恨和复仇时,解释了伍子胥产生怨恨的原因是在于忠臣的谏言被拒接,或者由于奸臣的诬陷而处于不正当的处境。这种忠臣的谏言事例在<屈原贾生列传>等列传中全面地体现,尤其是在<伍子胥列传>中,集中地表现谏言是产生怨恨的原因,同时也能够显示出忠臣的真实面貌。 第四,并非只表现伍子胥的怨恨,而谈到阖闾和夫差两代王朝时期发挥的政治远见和军事才能,以及伍子胥的直言和信念。这是担忧被后世给予很低的评价的结果,因此,司马迁试图展现出人物伍子胥身上的人情味和他的卓越的能力。从心理治疗的角度来看,我们可以说,这显示了将充满怨恨的不稳定的心理状态转化为能够发挥自身力量的一种怨恨的积极方面。 第五、怨恨一般具有世袭的特点,司马迁着眼于复仇具有极端后果的事实,通过他的写作手法表达了人类被压抑的心理状态,同时集中叙述其进展情况、脉络以及极端后果。怨恨和报仇心理是人类最自然的天性,但是在秩序内通过宽容、理性和礼仪等教育来避免情绪的爆发,反而在<伍子胥列传>中表现出的激进情绪并不常见的事例,心情忧愤的司马迁与读者达成共识,因此他们从中能够得到宣泄。 第六,司马迁的这种复合式叙述结构更加戏剧化地表现了内心充满怨恨的心理,同时通过列出相似的案例并增加了怨恨,从而将喷发所含的意义一般化。此外,由于司马迁关注周围的人物,使我们根据情况来能够了解他们与心理有怨恨的人的关系。由此看来,司马迁通过同时维持着人物伍子胥和有关的历史事实,或者果断省略等通过详细的叙事结构重新塑造了新的人物,即,接受自己的命运,坚持完成任务,最后壮烈牺牲的伍子胥。司马迁一贯秉持着强调忠心、节义和崇高本身价值的大义,从不放过从<伯夷列传>中提出的人类之正确的榜样。总之,伍子胥的愤怒、怨恨和报仇、力量的发挥和挫折等,司马迁对他一生的看法是,具有对立性、两面性、友好性、批判性和复合性。司马迁通过强化怨恨这一主题,使读者了解并认同作品中的人物,同时能够起到宣泄作用,也可以从一个新的角度拓展视野。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互見法을 통해서 본 伍子胥의 怨恨과 대립 구조
Ⅲ. 互見法을 통해서 본 怨恨의 모티브와 재발현
Ⅳ. 怨恨의 父子세습양상과 그 重意的層位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汉语方言中儿化的共时面貌
- 한・중 격구(擊毬)의 역사적 전개와 연행양상
- 선종 문예 심미와 인성 교육에 관한 소고
- 非目的语环境下韩国学生汉语口语的教学方法与策略
- 作为方法的“时间” : 论中国现代小说的发生
- 한의학 “歌賦”의 언어학적 연구
- 중국어 공손표현에 수반되는 신체언어 연구
- 여행의 기록에 나타난 문인의 자아 인식
- 張愛玲소설 속의 ‘제3공간’의 의미
- 杜宇·望帝·杜鵑고사 試探
- 台灣2019高雄內門宋江陣活動之經濟效益分析
- 한중 여성교훈서 비교연구
- 施蛰存小说中现代男性心理构建研究
- 莊子의 글쓰기를 통한 논증 교육
- 西周시기 신・인간・동물 범주에 관한 연구
- <伍子胥列傳>의 역행적 서사구조를 통해서 본 怨恨의 重意的層位
- 迷失与回归:先秦儒家道德观的主体结构及当代启示
- 한·중 차등 비교문의 환유적 표현에서의 인지적 고찰
- 韩国留学生使用汉语新词语情况调研
- 중국 전통문화의 현대성 고찰
- 동아시아 영화들에 구현된 폭력의 상징으로서의 기차와 그 극복
- 浅析文化语境对韩中互译的影响
- 중·일 번역문화와 번역어의 탄생과정
- 중국인문과학 제74집 목차
-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 수익구조의 형성 요인과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 고대 중국문헌 속의 사후세계와 ‘鬼’의 특징
- 한국화교의 이중언어 사용 양상 및 정체성 연구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即使P , Q’1)구문 내부 의미관계의 재분류 및 한국어 대응의미의 구분
- 漢詩의 능동적 향유와 독법에 관한 고찰
- 근대 중국 미술 개념과 문학의 조우 및 소통 시탐(試探)
- 조선족의 한국 경험과 다중적 정체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