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wey의 인식론과 수학 학습
이용수 24
- 영문명
- Dewey’s Epistemology and Mathematics Learning
- 발행기관
- 수학교육철학연구회
- 저자명
- 조진우(Jinwoo Cho)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철학연구』1권 1호, 43~5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수학 학습에서 과정을 강조하는 철학적, 인식론적 토대를 Dewey에서 찾는 것이다. 수학 학습에서 과정을 강조한다는 것은 수학 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경험을 폭넓게 이해하는것을 전제로 한다. Dewey는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일원론적 인식론을 택하고, 개인과 집단의 성장에 대해 경험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Dewey는 경험을 고대 그리스와 근대 경험론에서의 경험과 다르게 본다. 그는 경험을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적인 구분에 앞 선 것으로 보고, 이를 연속성의 원리와 상호작용의 원리로 설명한다. 이러한 Dewey의 견해는 수학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경험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된다. 이 글에서는 Dewey의 인식론과 경험 개념을 명료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경험을 폭넓게 이해할 필요성을논의함으로써, 수학 학습에서 과정을 강조하는 이유를 논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a philosophical and epistemological backgrounds to emphasis processes in mathematics learning from Dewey’s view.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y the processes is emphasized in mathematics learning, when we understand about what students’ experience means. Dewey asserted that nature and human being are not essentially separated and a experience is at the center of that kind of discourse. His foundation of the concept of a experience is on two principles, which are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In this article, it is clarified that what is Dewey’ epistemology and Dewey’ concept of a experience. After figuring about the whole view about Dewey’ experience, it can be understood that why the learning processes should be stress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