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Brand of Korea Traditional Village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이요한(Lee, Yo Han) 장광집(Chang, Kwang Chib)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2, 83~9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옥마을의 현황과 브랜드화에 대한 현황 조사에 대한 연구이다. 한옥마을이 많지만 한옥마을을 소개하는데 필요한 브랜딩 작업이 많이 되어있지에 대한의문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한옥마을, 한옥 고택, 한옥스테이는 한옥으로 이루어져있는 것이지만 자세히 분석을하다보면 완전히 다른 개념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알 수 있다. 하지만 한옥의 시작은 같은 것으로 시작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간의 사용 방법과 구성이 다르다고아예 다른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옥의 구성과 한옥 브랜드화에 대한 조사를 하게 된다면 이 현황을 통해서 증가하고 있는 한옥에 대한관심을 더욱 확대하여서 한옥마을의 브랜드화에 더욱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옥마을 현황과 브랜드화에 대한 현황의 조사를 통해 한옥마을의 지역별 분포와 종류별 현황과 시대별 구성 또는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한옥 브랜드화에 대한 현황을 함께 비교함으로써 한옥마을 브랜드화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것을 알 수 있는 연구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urvey of research on the status and branding of Hanok Village . There are many Hanok Village . But a study from questions about the need to introduce Hanok Village is not a lot of branding work. Hanok Village, Hanok gotaek , hanok stay is made up of houses. However, if the detailed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has a completely different concept . Since the beginning of Hanok has been started , such as can not be used and how it differs altogether different configurations with each other.
Interest in hanok , which increases if the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 and branding of these hanok Hanok will be further expand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ould have more interest in the brand 's Hanok Village .
This study is much research on the Hanok Village branded by comparis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type status and age -specific configurations or can know , and hanok brand made of Hanok Villag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the Hanok village Situation and branding the study shows that it is call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가구 대표기업의 업사이클링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교실에 관한 연구- 중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목차
- 게임산업과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 사용자 캐릭터 선택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휠체어 장애인의 공중 화장실 이용에 대한 고찰-1호선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 Hand Hooking을 활용한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웨어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데상트’와 ‘나이키’의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 서울특별시 북촌 한옥 카페의 현황 분석- 북촌로와 삼청로를 중심으로 -
- 국내 에스닉 레스토랑(ethnic restaurant) 현황의 관한 연구
- 한옥 마을 브랜드 현황에 관한 연구
-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